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간
찰나
모멘트
모먼트
호홀지간
전순간
d라이브러리
"
순식간
"(으)로 총 910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 있는 입체 사진을 찍는다 파인픽스 리얼3D W1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2개를 합성해 입체 사진을 만들 수도 있다. 일정 간격의 시차를 두고 촬영한 사진도
순식간
에 입체 사진이 된다. 초당 30프레임의 입체 동영상 촬영도 가능하다. 물론 보통의 2차원 사진도 찍을 수 있다.최근 20, 30대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토이카메라처럼 묘한 재미를 만끽하게 해주기도 한다. 컬러와 ... ...
아귀 땀 뻘뻘 흘리며 먹는 한겨울 제맛 아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행동인 듯 영악하기 그지없다.가짜 미끼에 홀린 사냥감이 사정권에 들어오면 상황은
순식간
에 끝난다. 아귀는 커다란 입을 벌려 물과 함께 먹이를 통째로 삼켜버리고 언제 그런 일이 있었냐는 듯 같은 자리에서 미끼를 흔들며 다음 먹이를 기다린다.심해어가 갈매기를 습격한다?조선 후기 실학자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갇힐 경우 얼음을 털어 버릴 수 있도록 설계됐다. 영하 40℃의 극한 환경에서는 해수도
순식간
에 얼어붙는다. 만약 선박이 항해하다가 정지할 경우 주변이 결빙되면서 갇혀 버릴 수 있다. 이때는 물탱크의 물을 좌우로 순환시켜 배를 좌우로 흔들어 얼음을 부순다.남 실장은 “아라온 호는 3분 정도면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만큼을 되돌려준다. 인간이 어떻게 대하느냐에 따라 자연은 그동안 베풀었던 혜택을
순식간
에 거둬 가버릴 수도, 더 많은 선물을 안겨줄 수도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삭힌 홍어 맛의 비밀 사람들은 홍어 요리라면 으레 삭힌 홍어를 떠올린다. 홍어를 삭히면 그 전보다 맛과 영양뿐 ... ...
어린왕자가 다녀간 대청도 '모래사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달리 식물이 거의 자라지 않는다. 식물이 땅에 뿌리를 내리기도 전에 많은 모래가
순식간
에 덮여 결국 ‘대머리’가 됐다. 바람이 아무리 세게 불어도 잎이 떨어질 나무가 없어서 외로운 옥죽동사구는 그 대신 모래알들이 바람의 질문에 대답한다. 바람이 불고 지나간 자리엔 모래알들이 바람의 지문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결국 그는 직녀성에서 온 전파를 잡아내고, 여기서 뽑아낸 설계도로 지구와 외계를
순식간
에 오가는 운송 장치를 만든다.흥미로운 점은 외계생명체가 쏜 전파를 포착하려는 연구가 허구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일반인들이 보기에는 황당할 법도 한 이 연구가 과학계에선 50년째 지속되고 있다. 바로 ... ...
국산 앱스토어 뜬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지난 2월 애플의 앱스토어에 아이폰용 게임 ‘헤비 마크(Heavy Mach)’를 올렸다. 이 게임은
순식간
에 북미 게임순위 3위까지 오르며 수십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변 씨는 앱스토어에서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이제 막 서비스를 시작하는 앱스토어가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되려면 변 씨와 같은 ... ...
휴대전화 떨어뜨리면 가장 먼저 망가지는 부분은?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충돌 상황을 설정하기만 하면, 컴퓨터가 알아서 휴대전화가 충돌할 때 받는 힘을 계산해
순식간
에 충돌 실험 결과를 내놓는다.설계를 바꾸거나 충돌 상황을 다르게 설정하는 일도 간단하다. 변수만 바꿔서 몇 번이고 시뮬레이션을 반복할 수 있다. 실험할 때마다 부품을 바꿔 휴대전화를 다시 만들고 ... ...
언제 어디서나 재잘재잘 twitter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내가 추적하는 사람(팔로잉)과 나를 추적하는 사람(팔로어) 가운데 떨어진 특정 정보는
순식간
에 트위터를 타고 광범위하게 확산된다.신청과 허락 절차가 없어 소통할 수 있는사람 수 자체가 많은 데다 팔로잉과 팔로어로 엉켜 있는, 복잡하면서도 개방적인 네트워크가 정보가 소통되는 속도를 ... ...
한국인 입맛 사로잡은 먹을거리 오징어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조절해 카멜레온처럼 몸 빛깔을 변화시킬 수 있다. 흥분하거나 위험을 느끼면
순식간
에 자신의 몸 빛깔을 바꿔 적에게 혼란을 준다.오징어는 홍길동처럼 갑자기 적의 시야에서 사라져버리는 능력도 있다. 평소에는 다리를 모아 앞으로 하고 몸통 가장자리에 있는 지느러미를 이용해 조용히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