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계
식견
안계
이해
지식
인식
견지
d라이브러리
"
시야
"(으)로 총 752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10만 단백질 군단 정체 규명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찾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현 단계에서 머무르고 있지는 않을 것이다. 보다 밝고 넓은
시야
를 갖고 새로운 생각과 새로운 방법을 찾고 있다. 단백질체학이라는 강력한 무기와 밤을 낮삼아 연구에 매진하는 전세계 과학자가 있는 한 멀지 않은 미래에‘단백질 구조형성 문제’에 적절한 해답을 찾을 ... ...
현대의학에 동원되는 극약 성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억제돼 피부와 입안, 그리고 눈이 건조해진다. 이뿐만 아니라 동공이 확대되고
시야
의 원근 조절에 이상이 생겨 한개의 물체가 둘로 보이거나, 그림자가 생겨 이중으로 보이는 증상이 나타나며, 여러 가지 골격근이 이완돼 소리를 내거나 말을 하는데 장애가 생기고 음식을 꿀꺽 삼켜 넘기지 못하는 ... ...
은하수로 떠나는 한여름밤의 꿈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눈이 좋은 사람은 두 별이 한데 어우러진 모습을 볼 수 있다. 쌍안경을 들이대면 같은
시야
안에서 작은 두 별이 사이좋게 붙어있는 것을 더 잘 볼 수 있다. 이 정도라면 평범한 짝별에 지나지 않지만 망원경으로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놀랍게도 두 별이 다시 각각 짝별을 이룬다. 더블더블(Double double ... ...
선글라스 원리 알면 효과 두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반대로 렌즈 뒤편에 반사방지 코팅을 할 수 있다. 테나 렌즈 뒷면에서 반사된 빛이
시야
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코팅할 때 막의 두께를 적당히 얇게 하면 반사 없이 투명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빛의 소멸 간섭이라 불리는 현상을 응용한 것이다.간섭 현상은 두개 이상의 파동이 서로 만나면서 ... ...
관측 최적기 맞은 화성 100% 즐기기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대해 기준을 정해 수치화하는 것이 좋다. 이때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것은 망원경의
시야
에서 흰 극관의 밝기를 0으로 두고 배경의 어두운 하늘을 10으로 하면 된다.극관은 충에 이르러 관측조건이 양호해지며, 4인치 굴절망원경이나 6인치 반사망원경 수준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극관은 화성의 ... ...
경복궁(景福宮) - 근정전에서 소리가 잘 퍼지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경복궁은 역사나 미술을 공부하는 곳으로만 여겨진다. 그러나 이곳도 과학의 배움터가 될 수 있다. 경복궁에서 과학적인 질문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떤 것들이 ... 느껴볼 수 있는 계기가 된다. 과학을 특히 좋아해 다른 분야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은 학생들도
시야
를 넓힐 수 있다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3백년, 화성에서 1천2백년, 금성에서 1천6백년, 지구에서는 앞으로 50년 등. 목성으로
시야
를 옮겨보면 어떨까요. 목성에서의 우리 모습은 호빵처럼 눌리게 됩니다. 목성의 중력은 지구의 3.5배이기 때문에 현재 인간이 갖춘 직립의 형태는 오래 견디지 못해 도저히 살 수 없죠. 토성을 볼까요.토성은 ... ...
② 아파트 단지에 설치된 작은 발전소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빠르게 상용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집안에 갖추고 있는 발전장치이번에는 가정 안으로
시야
를 좁혀보자. 가정은 국가 전체 에너지 사용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에너지 수요처다. 가정에서 전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 에너지절약은 물론 공해 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집안에 필요한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보는 세상은 회색세상을 배경으로 기어다니는 파리가 전부다. 그 파리가 개구리의
시야
에서 도망치는 일이 가능할까.곤충이 바라보는 모자이크 세상곤충의 눈은 그 모양에서부터 상당히 다르다. 홑눈이 아닌 겹눈이다. 겹눈은 홑눈이 수천개가 모여서 이루어진 눈이다. 개개의 홑눈은 각막과 ... ...
별자리 찾기 도시하늘이 더 쉽다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이루는 밝은 별만이 눈에 잘 들어온다.여러분의 동네에서 그나마 인공적인 불빛이 적고
시야
가 트인 곳을 고른다. 해가 진 후 어둠이 내리면 동남쪽 하늘을 찬찬히 올려다본다. 5분 정도만 지나도 처음보다 많은 별이 보인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은 길잡이가 되는 밝은 별부터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