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실"(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평창 동계 올림픽, 로봇 올림픽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얼음과 장비, 날씨까지…. 인간들의 올림픽에 숨겨진 비밀은 바로 과학이었나 봐. 그런데 저기 저 사람…, 뭔가 특별해 보여. 아니, 가까이에서 보니 사람이 아니라 로…, 로봇? 올림픽 현장 곳곳에서 만날 수 있는 로봇들평창 동계 올림픽에는 또 다른 별명이 있어요. 바로 ‘로봇 올림픽’이에요. ... ...
- Part 3. 선수 맞춤 장비를 마련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세계랭킹 1위 윤성빈 선수 슈트의 비밀 스켈레톤은 속도가 매우 빨라 100분의 1초 단위로 선수들의 순위가 정해진다. 따라서 스켈레톤 경기에서는 썰매는 물론 경기복과 헬멧 등 작은 장비 하나도 모두 중요하다. 온몸이 공기에 노출된 채 긴 거리를 달리기 때문에 공기 저항을 줄이는 것이 승패의 ...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추후에 재검사를 받을 수 있다. 이렇게 선수들의 도핑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공인된 연구실은 전 세계에 28곳뿐이다. 이 자격을 유지하려면 매년 세계반도핑기구로부터 공인을 받아야 하는데,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도핑 사태 이후 공인 기준이 매우 까다로워졌다. 미국, 프랑스 같은 선진국도 ... ...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교신저자로 이름을 올린 뒤 그 해 자살하며 비극적으로 생을 마쳤습니다. 한스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던 사토 토시로 연구원은, 연구팀의 기존 연구를 토대로 생쥐의 장 상피를 분리해 배양할 수 있는 조건을 찾는 실험을 시작했습니다. 장 상피는 크게 융모와 크립트(Crypt)라는 두 ... ...
- [INTERVIEW] 끈기와 근성 있다면 도전하세요! 화이트해커 박세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같이 공부하고 성장하고 싶었습니다. 마침 대학교 2학년 여름방학에 인턴을 하던 연구실의 지도 교수님께서 ‘직접 팀을 꾸려서 이끌어보라’고 이야기해 주셔 만들게 됐습니다. 다행히 실력 좋고 똑똑한 친구를 많이 만나서 멋진 팀으로 금방 성장하게 됐지요. Q. 가장 기억에 남는 해킹대회 문제는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고등학교 과학 활동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하지만, 학교에 도착하는 공문을 공개해서 본인이 신청해야 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연구실을 견학하는 것만으로도 과학자가 하는 일을 알게 되고 진로 결정에 많은 도움을 받기도 합니다. 정규 및 자율동아리는 실험이나 과학 활동을 스스로 원하는 실험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 ...
- [쇼킹 사이언스] 폭발하는 화산에서 푸른 빛이 번쩍! 화산번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번개가 생기는 것과 같은 원리예요. 2014년, 독일 루드비히맥시밀란스대학교 연구팀은 연구실에서 직접 화산번개를 일으키는 장치를 만들어 화산번개가 생기는 조건을 조사했어요. 그 결과, 화산재의 입자가 고울수록 화산번개가 더 잘 만들어진다는 것이 밝혀졌지요. 화산번개가 만들어지는 순간,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멀다는 점이다. 이 책임연구원은 “현재 두 번째 광격자 시계를 개발하고 있으며, 연구실 안에서 두 광격자 시계의 정확성을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10년 미국 표준기술연구소(NIST)가 두 개의 알루미늄 이온 광격자 시계를 이용해, 하나는 지표면에 두고 하나는 지상 3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편집자주 - 과학자에게 논문은 지식을 얻거나, 연구 방향을 잡거나, 아이디어를 얻는 보물창고와도 같습니다. 연구 주제를 정하고 관련 분야의 논문을 본격적으로 파기 시작하는 박사과정 연구원과 최신 연구 동향에 밝을 수밖에 없는 박사후연구원이 직접 해당 분야의 기념비적인 논문을 선정하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심도 있게 연구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겨울방학부터는 정용원 KAIST 화학과 교수 연구실에서 단백질 연구에 참여한다. 단백질은 DNA에 의해 큰분자로 조립된 뒤 로봇처럼 여러 가지 일을 하는데, 어떻게 조립되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오 씨는 “고등학교 때 R&E에 실패했던 일이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