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의심
물음
의혹
문제
질의
앙케트
d라이브러리
"
의문
"(으)로 총 1,564건 검색되었습니다.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처음 봤을 때는 고무찰흙으로 김밥을 빚어 놓은 것 같은 생김새 때문에 정말 맛있을지
의문
이 들었다. 그런데 직접 먹어 보니 김밥과 비슷한 맛과 쫄깃함에 빠져버렸다.‘굳지 않는 현미 떡’도 탄생했다. 쌀겨와 씨눈을 벗겨낸 멥쌀과 달리 현미는 왕겨만 벗겨내 영양가가 높다. 지금까지는 현미로 ... ...
수학으로 푼 석회암 동굴 비밀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생긴다. 그런데 이렇게 긴 동굴이 생기려면 꽤 빨리 석회암을 녹여야 하는데, 이것은
의문
으로 남아 있었다.폴란드 바르샤바대학의 물리학자 피오르드 스짐스자크는 탄산수가 석회암을 녹이며 구멍을 만들 때 생기는 불안정을 설명하는 새 방정식을 만들어 ‘지구와 행성과학’에 최근 발표했다. ... ...
트론 : 새로운 시작(Tron: Legacy)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가상현실 속 분신인 클루는 늙지 않는 반면, 케빈은 현실세계에서처럼 늙는다. 한 가지
의문
은 샘과 케빈 역시 가상현실에 들어오면 코드화된 프로그램일 수밖에 없는데 여전히 인간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샘과 케빈 모두 그리드 안으로 몸까지 들어갔지만 말이다. 인간을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효과가 있다면 왜 가만 놓아두겠느냐”며 한의학계에서 주장하는 한약의 우수성에
의문
을 표했다. 민족주의로 의학 해서는 안 돼유용상 위원장은 “한의학은 현대과학과 연관성이 없다”며 “한의학이 아직까지 남아있는 이유는 인문학적으로 연구해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한의학은 ... ...
기준에 맞춰 모여! 모두 집합!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어떠한 집합도 가장 큰 수를 원소로 갖는 집합보다 더 많은 원소를 가질 수 없는가?’에
의문
을 품고 집합론의 역설을 발견한 것입니다.부르알리-포르티처럼 칸토어의 집합론 결과에 관련된 역설도 있지만, 1902년 영국 수학자 러셀이 ‘모든 집합을 원소로 가지는 집합은 존재할 수없다’는 것을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과거에서 빌려왔다는 설명이다. 네그리는 “어떤 사람이든 자기가 받은 교육 과정에
의문
을 품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마련”이라며 “이는 과거가 현재와 미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직접적인 증거”라고 말했다.▶ 동역학계의 거장으로 1994년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을 ... ...
피라미드 안은 보물 천국?!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아니었을까? 그런데 마지막에 들렸던 목소리는 뭘까? 혹시 피라미드의 주인? 가장 큰
의문
을 남겨 두고 피라미드를 떠난다. 허풍의 퍼즐쇼!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는 말 아시죠? 정말 밥 한 끼 먹을 돈도 없었는데…. 비록 진짜 보물은 아니지만 이렇게 상금을 받았으니 보물을 찾은 거나 ... ...
[지식의 길을 묻다] IT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계속 발전하고 있다”면서 “다만 IT 기술이 과거처럼 기술 위주로 발전하게 될지는
의문
”이라고 강조했다. 더욱 많은 정보를 담는 것보다는 더 정확한 정보를 담는 것이 중요해지고, 길거나 용량이 큰 글보다는 오히려 더 짧은 글을 담는 서비스가 힘을 얻고 있는 것은 단순히 기술의 발전으로만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시기가 학자에 따라 다르게 주장된다는 점도 모나리자가 실존했던 인물인지에 대한
의문
이 듭니다.”조 교수는 그림을 토대로 모나리자의 3차원 두상을 만들었다. 모나리자 그림과 같은 그림자가 생기도록 두상을 만들면 실제 모델을 3차원으로 재현하는 일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다.3차원 두상으로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성단이 아닐까? 어떻게 보이기에 그런 이름이 붙었을까? 망원경으로 관찰하고 나서야 그
의문
이 풀렸다. 정말 딱 어울리는 이름이다. 까만 하늘우물 바닥에 수백 개의 은빛 동전이 놓여 있다. 별 하나에 은화 하나, 별 하나에 소원 하나. 소원우물에 있는 별 하나를 골라 뚫어지게 바라보며 소원을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