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세계"(으)로 총 4,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도 은행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우리나라에 뇌를 맡기는 ‘뇌은행’이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돈을 맡기고 찾는 은행처럼 설마 뇌를 맡기고 찾는 그런 곳일까요? 어쩐지 으스스하다고요? 뇌은행이 대체 뭐하는 곳인지, 뇌은행을 취재해 봤습니다. 인간 뇌는 약 1000억 개의 신경세포로 구성돼 있고, 그 사이를 1000조 개의 시냅 ... ...
- 탐사 62년 만에 탄생! 우주 유영 걸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이곳은 ‘우주유영걸스’ 탄생 현장입니다! 우주는 숨 쉴 공기도 없고 중력도 없기 때문에 우주를 떠다니는 우주유영은 매우 위험한 임무인데요. 바로 오늘, 10월 18일 여성 우주인만으로 이뤄진 우주유영이 세계 최초로 이뤄집니다. 1957년 인공위성 스푸트니크호가 발사되며 우주 탐사 시대를 연 ... ...
- 달 착륙 최초 여성, 성공 열쇠는 ‘옷장 혁명’?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시청자 여러분, 아시나요? 우주유영은 시작일 뿐이라는 걸요. NASA는 2024년까지 인간이 달에 착륙하는 ‘아르테미스 계획’에 여성을 보내기로 했습니다. 화성과 그 너머 우주까지도요. 그런데 이를 위한 첫 번째 단추가 옷이라는군요?! 우주복, 여성에겐 ‘핏’이 안 좋다?지금까지 우주유영을 ... ...
- [통합과학교과서] 방귀마을, 방귀 멈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우리 형제의 집을 부수고 빨간모자를 괴롭힌 늑대가 범인이야! 틀림 없어.”“에이, 탐정님. 복수심으로 수사하는 거 아니에요. 근거는 있어요?”“그, 그건…. 보통 동화에선 늑대가 나쁜 놈이지 않나?”개코 조수는 한숨을 푹 쉬면서 말했어요.“일단 늑대를 찾아가 보죠. 늑대가 빨간모자네에 ... ...
- [현장취재] 탐험으로 만나는 더 큰 세상! 탐험대학 제주캠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지난 6월 28일, 제주 중문 대포포구 근처 바다 위 요트에서 한바탕 소동이 벌어졌어요.“탐험대학 파이팅!”요트엔 우주, 로봇, 생태 분야 진로를 꿈꾸는 청소년 30명과 전문가들이 타고 있었어요. 이들은 앞으로 2박 3일간 함께할 탐험을 앞두고 기대감을 감추지 못했지요. 제주캠프 현장으로 가 볼까 ... ...
- [과학용어] 로봇·코딩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로봇(Robot)‘로봇’이라는 단어는 1920년 체코슬로바키아 작가 카렐 차페크가 희곡 에서 처음 사용했어요. 희곡에서 ‘로봇’은 일을 시키기 위해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생명체를 말해요. 사람과 비슷한 생김새에 일을 효율적으로 해내지만, 감정이 없고 독창적인 생각 ... ...
- 음식물 쓰레기 줄이는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와우~! 그런데 음쓰가 많아지면 우리 파리들이야 물론 좋겠지만, 인간들은 이대로 괜찮은 걸까요? 쌓이는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사람들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도 한번 알아봤습니다. 웽~! 못생긴 음식, 버리지 마세요! 지구인 컴퍼니음식물 쓰레기는 우리가 먹고 남긴 것뿐만 아니라, ... ...
- [Go!Go!고고학자] 쓰레기장에서 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서울을 가로지르는 4호선 지하철의 남쪽 종착역은 오이도역이에요. 서해와 가까운 이곳에 내려서 조금만 가면 맛있는 조개구이를 먹을 수 있죠. 언제부터 사람들이 오이도에서 조개구이를 먹었을까요? 놀라지 마세요. 지금 조개구이집이 즐비한 거리 뒤편에는 야트막한 언덕이 있는데, 이곳에는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뇌 신호로 직접 생각을 읽고 저장하는 방식은 오랫동안 수많은 SF소설과 SF영화의 소재로 사용됐습니다.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뇌(Brain)’가 대표적입니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마르탱은 전신 마비로 외부 신호에 반응하지 못하는 ‘감금증후군(locked-in syndrome)’ 환자이지만, ‘뇌 활성 전기신 ...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2019년 국내외 과학계를 아우르는 키워드는 '최초'와 '논란'이었다. 절대 관측할 수 없을 것 같던 블랙홀을 처음으로 관측했고, 인간이 만든 달 탐사선이 마침내 달의 뒷면에 착륙했다. 우리의 삶을 획기적으로 바꿀 양자컴퓨터용 칩은 양자우월성(양자우위)을 처음으로 달성했다. '디자이너 베이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