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뜰
마당
바깥마당
야드
수용 능력
타작마당
원정
d라이브러리
"
정원
"(으)로 총 596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현실시스템 의료분야에 응용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것 등. 특히 대형화면에다 어느 정도 입체성을 갖고 있어 몰입하는 정도가 종래의 상자
정원
보다는 월등하다는 것이 일본 소아병원측의 이야기.한편 가족과 장기 격리될 수밖에 없는 아이들을 위해 '가상면회'시스템을 실험중이며 특수한 치료법, 예를 들면 시각 청각 촉각 등이 미발달한 ... ...
(2) 우주탐사 12년 발자취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것으로 밝혀졌다.88년 11월 첫 무인 비행에 성공한 옛소련의 우주왕복선 부란호는
정원
이 10명이며 길이가 60m로 덩치가 미국것보다 크다. 고장난 군사첩보위성을 회수하고 수리하는 것이 주용도이다 ... ...
한국 기술 교육 대학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직업훈련교사 양성하는 대학이 대학에 설치돼 있는 학과는 모두 8개이며 한 학과당
정원
은 30명씩이다. 직업훈련분야 중 현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기계분야 학과가 4개(산업기계공학과 생산기계공학과 제어기계공학과 동력기계공학과)이고, 전기·전자분야에 3개(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 ...
블랙홀 탐험과 두뇌속 상상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동체 소재로 쓰이는 재료(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벌집구조로 돼 있음)를 사용했다.유성
정원
을 가볍게 산책한 후에 달기지 안으로 들어가게 되면 우선 '도전의 장'이 기다린다. 관람객들은 인류가 최초로 우주를 관측했다는 전설의 스톤헨지와 고대 우리 조상들의 천문관측기구라고 할 수 있는 ... ...
앵초 큰앵초 깽깽이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앵초를 대단히 사랑하며 일본에서는 자생지를 보호하고 있다. 앵초는 습기가 많은
정원
이나 화분에도 재배가 가능하다.원예용으로 남획되고 있는 큰앵초(Primula jesoana Miquel)는 해발 7백m 이상의 깊은 산 정상부 숲속 또는 물기가 있는 냇가에서 자라는 다년생 풀로 전체에 잔털이 있다. 땅속 줄기는 ... ...
장회익·모혜정 부부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물리학과의 문을 두드리려면 상당한 용기가 필요했다. 당시 이화여대 물리학과의 경우
정원
이 20명(현재는 80명)이었는데 모교수와 함께 졸업한 사람은 9명 뿐이었다고 한다. 장·모부부의 네번째 일치점은 둘다 현재까지 한권의 저서를 썼다는 것이다. 장교수는 '과학과 메타과학, 모교수는 ... ...
무공해 대체에너지 개발에 초점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전기를 발명함으로써 자연의 지배를 극복하는 전환점을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전기
정원
에 들어서면 음악분수와 광섬유로 장식된 나무가 관람객들을 맞는다. 곧바로 영상관에 들어가 '에너토피아'란 제목의 대형 입체영화를 보게 된다. 3장으로 구성된 이 영화는 자연에서 에너지가 생성되는 과정, ... ...
디스크와 파일의 중개인 디렉토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사라져 버린다. 심지어는 파일이 들어 있는 서브디렉토리까지도 몽땅 지워버린다.
정원
사가 가지를 쳐서 다른 가지에다 접목하듯 어떤 하위 디렉토리를 다른 디렉토리의 하부디렉토리로 갖다 붙일 수 있는 기능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치기(PRUNE)와 접목하기(GRAFT)라고 한다 ... ...
여성과학자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모든 상황이 나아졌다고 보긴 어려워요. 기업연구소의 남성선호경향이 여전하고 대학은
정원
에 묶여있어 좀처럼 뚫기가 어려워요. 예로 서울대 약대의 경우 40여명의 교수 중 여성 교수는 단 한분(김영중 교수)뿐이고 제가 재직중인 서울대 천연물과학연구소도 10명의 교수중 저만이 여성입니다"라고 ... ...
「간이 인공위성」으로 부각되는 무인비행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화려하게 펼쳐지는 듯했다. 힌덴부르크는 요즘의 747점보기보다 덩치가 크며 90명
정원
에, 피아노까지 있는 오락실을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힌덴부르크는 1937년 5월 수소가스 폭발로 많은 인명피해를 냈으며 그로 인해 비행선 시대는 마감됐다.그후 폭발하기 쉬운 수소를 대신해 안정한 불활성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