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의
제언
제기
제공
건의
충고
권유
d라이브러리
"
제안
"(으)로 총 2,006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이것이 ‘신의 한 수’ 절연체 뺀 초전도 자석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자연스럽게 저항이 없는 전선을 따라서만 흐르게 된다. 절연체를 빼자는 한 교수의
제안
이 ‘미친 아이디어’로 받아들여질 수 밖에 없었던 이유다. 절연체 버리고 초전도 자석 난제 ‘톊치’ 해결한 교수가 절연체를 빼겠다는 생각에 이른 건 코일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였다. 금속인 초전도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때문이다. 연구팀은 약화된 태풍도 진로를 예측하고 특보를 발행할 것을 기상청에
제안
했다. 연구결과는 2016년 6월 국제학술지 ‘자연재해’에 실렸다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Inventory) 검사’를 진행했다. BDI는 아론 벡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명예교수가 1961년 처음
제안
한 우울증 검사로, 두 차례 개정되면서 지금의 BDI가 완성됐다. 우리나라에는 1993년 처음 도입됐다. BDI 검사는 ‘나의 앞날에 대해 얼마나 절망적으로 느끼는지’ ’요즘 생활이 재미있는지’ ’죄책감을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위해 쓴 말이었답니다. 빅뱅이론은 미국의 물리학자 ‘조지 가모브’가 1948년 처음
제안
한 이론이에요. 하지만 당시 과학자들은 우주가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다는 ‘정상우주론’을 믿었어요. 그래서 우주가 특이한 한 점에서 대폭발을 하며 탄생했다는 것을 믿지 못했지요. 그 중 대표적인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유해한 미생물 점수가 높았던 기자에게 이 소장은 “침구를 자주 청소하는것이 좋다”고
제안
했다.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서비스는 자신의 유전체와 미생물 정보를 활용해 건강을 관리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음을 의미한다. 신영아 대표는 “이미 해외에서는 자기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만들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그런데 2017년 8월 이런 방식의 비밀번호 구성을
제안
한 빌 버 전(前)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연구원이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이 가이드라인은 실질적으로 보안에 큰 도움이 안된다”며 “내가 한 일 중 가장 후회하는 일”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 ...
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소련의 우주 개발이 한창이던 1960년, 미국인 맨프레드 클라인즈와 네이선 클라인이 처음
제안
했지요. 두 사람은 자신들이 쓴 글 ‘사이보그와 우주’에서 “인간이 우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우주 환경을 지구처럼 바꾸는 것보다 인간의 기능을 개선해 사이보그가 되는 편이 낫다”고 주장했답니다 ... ...
[가상인터뷰] 최고의 달리기 선수 치타, 멸종 위기에 처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수가 절반으로 뚝 떨어질 거란 뜻이기도 하지. 바르샤 연구원은 한 가지 해결 방법을
제안
했어. 관광지나 사냥터에 사는 치타들을 보호 구역 내 치타에게 적합한 서식지로 옮기는 거야. 그럼 사람들과 마주치는 걸 차단할 수 있어서, 수가 줄어드는 걸 막을 수 있는 거지. 관광객들이 해 줄 수 있는 ... ...
Part 3. 플로팅 시티, 도시를 물에 띄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및 도시디자인과 크리스티나 힐 교수는 해수면 상승에 대비해 ‘플로팅 시티’를
제안
했어요. 플로팅 시티는 말 그대로 물 위에 떠 있는 도시를 뜻해요. 힐 교수는 지난 10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세계과학기자대회에서 “2050년 까지 해수면이 40cm만 상승해도 샌프란시스코만 일대 국제공항은 ... ...
[공룡은 왜?] 공룡 백과사전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세이스모사우루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되살아났다?!공룡을 연구하는 분야에서는 분류가 잘못되거나
제안
되었던 주장이 다시 수정되는 일이 종종 일어나곤 해요. 그 결과 세이스모사우루스처럼 이름이 사라지거나 반대로 새로운 이름이 나타나기도 한답니다. 사라졌던 이름이 되살아난 대표적인 사례는 브론토사우루스예요.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