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Rethinking] - 제1화 - 방정식엔 왜 x를 사용할까?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쓰이지 않는 철자여서 여분이 많아 x를 사용했다는 설도 있어요. 인문학자 : x를 누가 처음 썼느냐 하는 것은 단정 짓기 어려운 문제예요. 안전하게 남아있는 기록으로 이야기하면 데카르트 이후라고 할 수 있어요. 데카르트 자신도 이 규칙을 계속 고수한 건 아니었고 그 뒤에 수학자들 사이에서도 ... ...
- [Rethinking] 세 번째 질문, x가 방정식에서 사라진다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것이지요. 아까 기호를 쓰지 않는 것의 장점을 이야기하긴 했지만 그건 아이디어를 처음 접했을 때 그렇고, 실제 수학 내용을 기호 없이 모두 일일이 표현하면 정말 불편할 거예요. 만약에 x가 없어서 방정식을 계속 풀어 써야 한다면 당연히 시간이 훨씬 더 걸리고 효율도 떨어지겠지요. 수학자 ... ...
- 엄마가 말하는 최-정-담, 호기심이 넘쳐 흐르는 아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집 안 서랍이란 서랍은 다 열어보는 아이였다. 그땐 이해가 안 갔는데, 한글을 알고 제일 처음 쓴 문장이 ‘그개 모드라(그게 뭐지)’였다. 그걸 보고 ‘아, 정담이는 정말 알고 싶은 게 많은 아이구나’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궁금한 게 생기면 마음껏 빠지도록 뒀다. 나이별로 꽂히는 주제가 있었다. ... ...
- [특집]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만나보지 못했다”며 “AI를 대하며 우리 수준의 행동과 판단을 할 수 있는 존재를 처음 접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그런데 우리는 AI의 지능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도 온전히 파악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AI에는 ‘블랙박스’가 있다. 기계학습을 통해 인간과 유사한 행동을 하도록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실리코팜. 불치병 정복을 목표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학부를 졸업했던 김 공동대표에게 DGIST는 꿈을 실현한 공간이다. 김 공동대표는 “처음부터 창업에 뜻이 있었다”고 말했다. 학부 재학 시절에도 창업을 여러 번 시도했던 그는 기술 창업에 필요한 전문성을 기르기 위해 DGIST 대학원을 선택했다. 물리적인 공간도 실리코팜에 큰 힘이 됐다. ... ...
- [Data math] 케첩 짤 때 팍 튀지 않게 하는 방법은?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작동할 때와 같이 여러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어요. 케첩 통을 짜는 경우도 우리가 가장 처음 생각했던 일상적인 예 중 하나였지요. 그래서 종종 연구를 음식에 빗대어 설명해요. 사람들은 화산 활동에 대해 잘 알지 못하지만, 대부분 케첩을 짤 때 팍 튀는 장면엔 익숙하니까요 ... ...
- [Mathematician] 직접 부딪쳐 답을 찾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주시는 교수님들 덕분에 수학 연구의 재미를 알게 됐어요.” 수학을 통해 배운 배려심 처음엔 연구에 너무 빠져서 곤란한 상황에 처하기도 했다. 지도 교수님의 가르침에 따라 정해진 주제의 논문을 대학원생 각자 공부하고 그 내용을 발표하는 세미나 시간에 서 교수는 제멋대로 하고 싶은 주제를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만족하는 새로운 수를 쓸 수 없는 사람이 게임에서 져요. A가 먼저 시작하고, 게임을 처음 시작할 땐 칠판에 아무 수도 적혀 있지 않아요.게임의 상태는 칠판에 적힌 숫자들의 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어요. 모든 게임의 상태는 아래 두 종류 중 하나예요 ... ...
- 최정담이 말하는 최-정-담, 공부만 잘하는 사람이고 싶지 않아!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내가 하는 일 중에 가장 가치있는 것 같다. 블로그에 한 사용자가 ‘작가 덕에 70 평생 처음으로 수학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정말 고맙다’라는 댓글을 남겼는데 정말 뿌듯했다. 또 가끔 강연을 하면 아이들이 내게 찾아와 질문한다. 학문에 대한 동경을 심어준 것 같아서 내가 의미 있는 일을 하며 ... ...
- [특집] 인간의 지능, 인간이 만든 지능을 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부른다. AI와 인간의 지능도 마찬가지다. 1956년, AI(Artificial Intelligence)란 용어를 처음 말한 사람 중 한 명인 미국의 공학자 존 매카시는 기계에 지능을 부여하고자 인간 두뇌에 있는 신경망을 떠올렸다. 이유는 간단하다. 지능을 구현하기 위해 참고할 만한 예시가 두뇌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AI의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