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생"(으)로 총 5,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동수비대 지역특파원, 어떤 일을 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동도로동동동~! 난 우동수비대의 ‘재간동이’ 우동이야. 우동수비대(우리동네 동물원 수비대)는 수의사와 동물원을 연구해 행복한 동물원을 만드는 시민과학 프로 ... 유튜브 ‘동아사이언스’에서 1기 보고&2기 발대식이 열립니다! 2기에서는 수의과대학생 멘토 48명도 함께합니다 ... ...
- 과학동아천문대장이 보여주는 이달의 천체 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과학동아천문대 초등학생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우주를 즐기자!로켓 발사체를 재활용하고, 다른 행성에서 드론을 날리는 세상! 우주 탐험의 가능성이 성큼 다가왔어요! 앞으로 우주 탐험은 어떻게 발전하게 될까요? 궁금한 친구들은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 알아보세요. 우주의 기본을 익히는 ... ...
- [JOB인터뷰] 춤에도 수학이 필요해! 김설진 무용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했어요. 초등학교 4학년 때 친구들과 댄스팀을 만들어 학교 행사에서 공연도 했지요. 고등학생 때는 서울로 가서 가수 김원준, 코요태 등의 백댄서(가수 뒤에서 춤추는 사람)를 하면서 춤을 배웠어요. 춤을 잘 추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사람이 몸을 어떻게 움직이는지 자세히 관찰하고 어떻게 ... ...
- 불완전한 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여름 열고 있는데, 현재는 미국 전역에 12개 지부가 생겼을 만큼 규모가 커졌다. 중·고등학생과 그들의 학부모를 위한 행사도 개최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과학,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여성이 많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급격한 성장을 이뤄냈습니다. 출생률이 낮아져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씹고 뜯고 맛보며 즐기는 수학의 매력을 알려드릴게요!수학동아 l2021년 12호
- : 지금까지 설명한 수학 개념 중 기억에 남는 것은 무엇인가요? 최정담 작가 : 제가 초등학생이었을 때 충격을 받았던 수학 개념이 있어요. 바로 0.999가 1과 정확히 같은 것이었지요. 당연히 0.999는 1보다 작을 것으로 생각했으니까요! 그러나 이 사실은 모든 수학자가 인정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평소 떠올린 아이디어를 프로그램으로 만들고 싶어 ‘스위프트 학생 공모전’에 참가했어요. 2020년에는 게임을 통해 코딩을 배울 수 있는 ‘메이크, 코드, 액션(Make, Code, Action)’을 만들었어요. 2021년에는 애플이 만든 프로그래밍 언어인 ‘스위프트(Swift)’를 배울 수 있는 ... ...
- [특집] 마녀의 외침 “난 억울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난 고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수학자 테온의 딸이자 수학자인 히파티아야. 학생들에게 수학을 가르쳤지. 난 알렉산드리아를 관리하던 총독 오레스테스와 가까운 사이였어. 그런데 알렉산드리아 종교 지도자의 자리에 오른 키릴로스가 오레스테스를 미워하면서, 나는 마녀로 몰려 죽임을 ... ...
- 따뜻하면서 멋스럽게, MZ 세대 겨울 패션 공식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각각 삽입해 애플리케이션으로 현재 온도를 알 수 있도록 설계했다. 연구팀의 김규연 STC 학생연구원은 “사용자가 수동, 자동으로 모두 조작할 수 있으며 일정 온도가 넘어가면 저절로 차단하게 돼 안전성을 갖췄다”고 설명했다.임 센터장은 “금속 와이어는 한 곳이 끊어지면 발열되지 않는 ... ...
- 과학자도 코로나19 이후 전면 봉쇄...2021년 평양의 과학기술은?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사실을 어느 정도 인정한다는 의미다.2000년 초반만 해도 과학자들은 집이 없어 학생 기숙사를 고쳐 주택으로 사용하는 등 의식주를 걱정해야 할 정도로 어려웠지만, 김정일이 집권한 이후 우수 과학자를 중심으로 대우가 상당히 좋아졌다. 과학자 상점을 만들어 좋은 물건을 싸게 살 수 있게 하는 등 ... ...
- [핫이슈] 수학계에 산타가 나타났다!? 70년 만에 풀린 등각선 문제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즐거웠다”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엄상일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이 연구를 두고 “대학생 2명이 힘을 보태 불과 2쪽짜리 증명으로, 문제를 해결했다”며, “문제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 생각지도 못했던 아이디어를 주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그래도 이번 결과는 놀랍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