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땀띠
한창
칸
hahn
khan
d라이브러리
"
한
"(으)로 총 20,93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
한
실패의 순간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성공은 상대적으로 자주 있는 일이라 성공이 있었다는 사실조차 까먹거든요.“
한
해가 마무리되는 12월입니다. 과학동아와 함께 실패와 직면하고, 작은 성공을 축하하며 2023년을 보내는 건 어떨까요 ... ...
[커리어]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제약공학자란 꿈을 이뤄보는 하루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주고자
한
다”면서 “백마디 말보다
한
번의 경험으로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듯, 다양
한
프로그램에 참여해 꿈을 구체화하는 경험을 갖길 바란다”고 말했다 ...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2023년 9월 12일 멕시코 의회에선 ‘외계인 소동’이 벌어졌습니다. 멕시코의 언론인 호세 하이메 하우산이 의회 청문회에서 1000년 묵은 외계인의 시신을 발견했다는 주장을
한
... 괜히 쓸쓸
한
기분이 드는 것처럼,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를 혼자만 알고 있는 것도 퍽 쓸쓸
한
일 아니겠어요 ... ...
[2039:화성에서 일 년 살기] 영화처럼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기란 쉽지 않지만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싶어졌다. 집에 가면 나의 화성 생활을 정리
한
글을 남길 생각이다. 집에 도착하자 익숙
한
목소리가 들려왔다.“다녀왔어.”“어서 와.”필자소개 정대호. 연암대 스마트원예계열 교수로 서울대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식물 광합성 모델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jdhenv@yonam.ac ... ...
[과동키즈] 내 소설의 날개를 펼치기에 SF는 최적의 공간이었죠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먹고 사는 문제나 인간 관계처럼 매우 당연
한
어려움이 섞여있다. 이 지난
한
과정에서
한
가지 깨달음은 얻었다. “절대 포기하지 말자. 버티는 자가 결실을 맛본다.” 독자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인 동시에, 글을 처음 쓴 6년 전과 지금의 내게 하고픈 말이다. 부디 모두 포기하지 않길 바란다 ... ...
2023 SF스토리 공모전 시상식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함께 과학에 대해 이야기하는 데 열정을 갖고 있다”면서 “양자・나노 부문에 지원
한
작품이 53건이나 된다. 오늘 시상하게 돼 무척 기쁘다”고 했다. 수상작들은 동아사이언스의 SF 창작 플랫폼 ‘SF스토리콘’과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기업 고즈넉이엔티가 발간할 소설 부문 수상작 작품집을 통해 ... ...
[숫자로 보는 뉴스] 빠르게 튕겨! 몸무게의 300배가 넘는 오줌을 누는 비결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12호
배출할 때도 많은 에너지를 써요. 슈퍼 추진력을 이용하면
한
번에 많은 양의 소변을 최대
한
빨리 배출해서 에너지를 아낄 수 있지요. 샤프슈터가 먹는 것 중의 95%는 물인데, 물에 있는 영양분만 조금 먹고 나머지는 오줌으로 내보내요. 그래서 하루에 자기 몸무게의 약 300배에 달하는 양의 오줌을 ... ...
[꿀꺽! 생활 속 수학
한
입] 절약요정 졸졸이의 지구 지킴 일과표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12호
활용하면 금방 알 수 있거든!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꿀꺽! 생활 속 수학
한
입] 절약요정 졸졸이의 지구 지킴 일과표Part1.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응가!Part2. 개운하게 목욕하기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띠고 있다고 가정했더니 수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등가원리 : 중력과 가속도에 의
한
관성력은 구분할 수 없다는 원리다.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질량이 없는 빛의 휘어짐이나 시공간의 곡률을 설명할 수 있다 ... ...
[매스미디어] 수학 국가대표, KAIST 퍼즐 동아리가 말하는 필승 전략! 데블스 플랜 게임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나열해서 정리하는가가 중요
한
게임이에요. 여러 방향으로 머릿속에서 그어보며 연속
한
숫자의 합을 찾아야 하니까요. 그래서 제작진이 육각형을 이용해 게임을 만든 것 같아요. 가로뿐 아니라 대각선 방향이 다양하게 나올 수 있거든요. 그러면 머릿속에서 정보를 나열하는 과정이 굉장히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