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즌
시절
철
절기
사철
절후
시기
뉴스
"
계절
"(으)로 총 85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 천문대장의 별별 이야기] 15년 만의 설레는 만남, 7월 화성대접근!
과학동아천문대
l
2018.07.17
남극관이 잘 보이는 시기입니다. 지구와 마찬가지로
계절
의 변화가 있는 화성에선
계절
에 따라 극관의 크기도 달라진답니다. 여름에는 작고 겨울에는 크지요. 요즘 화성은 10월 중순의 하지를 향해 가며 점점 더워지는 시기입니다. 그래서 남극관이 점점 줄어드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붉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한 번에 한두 가지 음식(먹이)을 먹는 거지 길게 보면 꽤 다양한 음식을 먹는다.
계절
이나 지역에 따라 번성하는 풀과 나무의 종류가 다르고 어떤 동물을 사냥했나에 따라 그날 식단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몇몇 초식동물은 놀라울 정도로 입맛이 까다롭다. 특히 판다와 코알라가 그런데 ... ...
[짬짜면 과학 교실] 하늘에서 열린 풍물 놀이마당: 지구와 달의 운동
2018.07.14
방향의 별자리들이 잘 보이는 거예요. 지구가 태양을 1년 한 바퀴씩 공전하니 지구는
계절
마다 1/4바퀴씩 공전하는 셈이에요. 그러니 봄에 잘 보이는 별자리가 있고, 여름에 잘 보이는 별자리가 있어요. 가을과 겨울에도 마찬가지예요. GIB 제공 지구의 위성인 달도 지구처럼 자전도 하고 공전도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싱그럽고 비린 여름냄새...정체가 뭘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7.12
이 형성된다. 그런데 여름에는 광화학 반응의 필수 요소인 자외선량이 많기 때문에 다른
계절
에 비해 대기 중 오존량도 늘어난다. 성층권에 있던 오존이 대류권으로 내려오기도 한다. 미국 국립대기과학연구소 가브리엘 피스터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대류권의 광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한 오존이 1 ... ...
중국에서 210만 년 석기 발견...‘아시아 최초의 인류’ 정설 바뀌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7.12
곳에서 살아남을 정도로 두뇌가 발달했는지 알기 어려웠으나, 이번 연구로 이른 시기에
계절
성이 큰 온대 지방의 기후에 적응했다고 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아시아에서 발굴된 100만 년 전 이전 인류 흔적들. 파란 점은 석기고 빨간 점은 인골 화석이다. 이번에 처음으로 중국에서 200만 년 이전 ... ...
[여기에 과학] 북반구의 동쪽이 남반구에선 서쪽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6.22
이에 대한 답은 ‘아니다’가 맞습니다. 북반구와 남반구가 상하반전돼서 위도에 따라
계절
은 반대로 진행되지만 좌우가 뒤바뀐 건 아니라는 얘깁니다. 사실 지금까지 설명한 동서남북의 방위 개념은 지구나 우주적인 관점에서는 무의미한 개념입니다. 지난 3월 우리 곁을 떠난 영국의 물리학자 ... ...
과거 생명의 흔적? 35억 년 전 화성 암석에서 유기화합물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6.11
전후로 낮아졌다. -사진 제공 사이언스 NASA 연구팀은 이 밖에도 화성 대기 속 메탄 농도가
계절
에 따라 변한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혔다. 지구에서 대기 중 메탄은 주로 생물(소 등 가축)이 만들기에, 화성의 메탄이 어디에서 생기는지는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데에도 중요한 문제였다. 하지만 ... ...
무서운 아이스크림
팝뉴스
l
2018.06.04
제공 더운 여름이다. 아이스크림이나 아이스바가 인기를 얻는
계절
이다. 그런데 달콤한 아이스바를 먹을 때 조심해야 할 것 같다. 사진은 경계심을 가져야 한다고 해외 네티즌들을 설득하고 있다. 어느 나라에서 촬영된 사진인지는 불분명한데, ‘얼음과자’ 내부에 날벌레가 들어 있다. 작지 않은 ... ...
[여기에 과학] 해가 진 다음 왜 바로 어두워지지 않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6.01
7도)을 기준으로 시민박명은 태양이 지평선 아래 '0'도에서 '-6도' 사이에 위치할 때이며
계절
에 관계없이 30분가량 지속됩니다. 항해박명 때는 태양이 '-6도'에서 '-12도'까지 가라앉게 되며 시민박명후 역시 30여분간 진행됩니다. 이후 '-12도'에서 '-18도' 아래로 떨어지는 천문박명도 30여분 지속되기 ... ...
'세한도' 속 나무가 추위를 견디는 비결, DNA 구조 조절에 있었네
동아사이언스
l
2018.05.30
저항하는 비밀을 밝혀냈다. 세한도는 국보 180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추운
계절
이 된 뒤에야 소나무, 잣나무가 시들지 않는다는 사실을 안다"는 논어 자한의 글에 영감을 받아 추사가 그리고 글을 쓴 세한도(歲寒圖). 추위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나무의 생존력을 군자의 지조에 빗대었다.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