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신
뉴스
"
또 하나의 자기
"(으)로 총 569건 검색되었습니다.
너는 내 운명, …일까?
과학동아
l
2015.07.21
연애를 못하고 수시로 남자친구를 바꾸는 걸로 유명했습니다. 소년은 갑
자기
또
불안해졌습니다. 운명과 로맨스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또
다시 잠을 못 이루고 운명에 관해 인터넷을 뒤지던 소년의 눈에 1998년 ‘성격과 사회심리’ 저널에 실린 논문이 하나 눈에 띄었습니다. pixabay.com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6.30
● 인간형+특기 있어야 고성능 재난 로봇 로봇공학자들 사이에선 재난,
또
는 구조용 로봇은 ‘인간형’이 될 거라는 예측이 많다. 우리 주변의 ... IHMC로보틱스만이 예외적으로 높은 성적을 올렸지만 로봇들은 대부분
자기
만의 색깔이 있었다. 5위를 차지한 ‘팀 로보시미안’은 NASA 산하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06.29
부른다. 영화 ‘어벤저스’의 울트론이 이에 속한다. 우리가 기대하고
또
두려워하는 것은 강한 인공지능이나 초지능이다. 서두에 언급했듯, 많은 ... 두 눈과 두 팔을 갖고 있다. 거울에 비친 자신의 팔을 보면서 그것이
자기
앞에 있는 물건이 아니라
자기
몸에 달려있다는 것을 안다. 이런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대목이 나온다. 참고로 자가면역질환이란 면역계가 외부 침입자가 아닌
자기
몸을 공격한 결과 나타나는 병이다. 이 책에서는 대표적인 ... 카사데발과 피로프스키는 절대적인 병원체도 없고 절대적인 유익균(
또
는 무해균)도 없다며 중요한 건 ‘맥락’이라고 강조한다. 예를 들어 아스페르길루스 ... ...
쉬면서도 페이스북 자꾸 보고 싶은 이유는?
2015.06.09
설명문이 사진과 얼마나 잘 어울리는지 평가하게 하면서 동시에 기능성
자기
공명영상(fMRI) 촬영을 통해 뇌의 어떤 부분이 활성화되는지 조사했다. ... 문구를 본다거나, 수식을 볼 때는 이 부위가 활성화되지 않았다.
또
연구팀은 배내측전전두엽피질의 활성화가 잘 되는 사람이 눈치도 ... ...
걸을 때마다 빨파녹 빛이 번쩍, 스마트 신발
2015.05.28
신발을 신은 사람이 신발에서 나오는 색깔의 종류와 패턴을 보고
자기
걸음걸이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연구진은 ... 애플리케이션에서 실시간으로 걸음걸이를 확인할 수 있게 했다.
또
애플리케이션 추가 기능을 이용해 걸음걸이 횟수를 확인할 수 있고, LED를 꺼 놓을 ... ...
[신나는 공부]대학은 당신의 ‘과거’가 아닌 ‘미래’를 궁금해한다
동아일보
l
2015.05.26
쓴다. ‘여러 사례를 잡다하게 늘어놓는 것보단
하나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좋다’는
자기
소개서 작성법이 널리 알려지면서 생긴 현상. ... ‘윤리적 소비’라는 책을 읽고 토론을 했다.
또
사회적 기업을 소개하는 홍보물을 만들어 점심시간에 교내에서 홍보하는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공기방울-분뇨로도 전기 만들어요
동아일보
l
2015.05.13
쓸 수 있을 것”이라며 “균형을 잡기 위해 배 밑바닥에 싣는 물을
자기
유체로 바꿔서 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 ... 이런 식으로 가축 똥을 모아 여러 지역에 전기를 공급하고 있다.
또
독일의 뮌헨 동물원에서도 양이 너무 많아서 처리하기 힘들었던 코끼리 똥을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30
” 이어서 명예기자들은 개미 채집에 나서기로 했어요. 하지만 갑
자기
쌀쌀해진 날씨 탓에 개미들이 땅 깊숙이 숨어 나오질 않았어요. 개미가 ... 땅을 깊숙이 판 뒤에야 개미를 채집통에 넣을 수 있었답니다. 그런데
또
문제가 생겼어요! 개미가 마구 움직여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가 없었거든요. ... ...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04.27
비롯한 대부분의 명금류는 왼쪽 뇌만을 사용해 노랫소리를 낸다. 새들은
또
노래하는 뇌를 1년 중 특정 시기에만 쓰도록 진화했다. 일례로 온대 ... 주변에 깔때기처럼 소리를 모을 수 있는 특이한 깃털들도 나 있다.
자기
장을 감지해 항법 보조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흐린 날에도 집을 찾고,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