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략
지략
음모
모방
모해
모함
복사
뉴스
"
모사
"(으)로 총 543건 검색되었습니다.
홍합과 오징어빨판 따라했더니 선박에 달라붙던 해양물질 사라져
2016.02.01
해양대학원 및 환경대학원 제공 홍합이 만드는 접착 단백질과 오징어의 빨판 구조를
모사
한 친환경 방오소재가 개발됐다. 방오소재란 재료 표면에 해양생물이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는 소재를 뜻한다. 황동수 포항공대 해양대학원 및 환경대학원 교수팀은 강태곤 삼성 SDI 연구원, 샌타바버라 ... ...
“기업 뒷바라지했던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이제는 기업 안 하는 미래기술 연구해야”
2016.01.02
한계를 뛰어넘을 ‘포스트 실리콘’ 반도체도 연구 중이다. 양자컴퓨터와 나노신경망
모사
연구도 올해부터 새롭게 시작한다. 이 원장은 “KIST는 ‘처음’이라는 상징성을 가진 만큼 앞으로는 국내에서 미래 기술 연구를 선도적으로 이끄는 허브로 키울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소기업 ... ...
대규모 연구과제 봇물…각 기관 ‘환골탈태’ 천명
2015.12.31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래 기술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양자컴퓨팅, 나노신경망
모사
분야 등 차세대 연구분야에 집중할 계획이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너지연)은 국제사회에서 가장 주목받은 주제인 지구온난화 대응기술 개발에 주력할 예정이다. 2015년 12월 195개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이 ... ...
뜸 국제표준 제정…뜸 치료 시 화상 위험 줄여
2015.12.24
담겨 있다. 뜸의 온도를 사람의 피부 온도에서 직접 측정하는 대신 사람 피부의 특성을
모사
한 물질 위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한국의 뜸 온도 측정기술, 뜸의 주원료인 쑥 3kg을 사용해 만든 뜸 재료 무게는 최대 1kg을 넘어서는 안 된다는 등의 세부 내용도 포함됐다. 이혜정 한의학연구원장은 “이번 ... ...
인간을 기계화하거나, 기계를 인간화하거나, 뉴로모픽컴퓨터
과학동아
l
2015.12.02
간의 연결망 뉴로모픽컴퓨터(이하 뉴로모픽)는 뇌의 물리적인 구성과 학습법을 그대로
모사
하는 작은 칩이다. 칩 안에는 여러 개의 ‘코어’들이 존재하는데, 이는 기존 컴퓨터의 CPU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해 몇 가지 전자 소자들과 메모리 등으로 이뤄져 있다. 코어의 일부 소자는 뇌의 ... ...
이슬람 과학기술역사박물관에 가다
2015.11.01
연금술 등과 관련된 유물들이 전시돼있다. 작은 박물관 안에 있는 전시품들은 대부분
모사
품이었지만, 9세기 경 최고 전성기를 이뤘던 이슬람 과학기술의 힘을 느끼기에는 부족함이 없었다. ● 프톨레마이오스를 계승한 이슬람 천문학 별자리 관측에 사용된 기구. - 이스탄불=권예슬 기자 yskwon ... ...
스마트폰보다 음성 인식 잘 하는 인공전자피부
2015.11.01
마주보며 서로 맞물려 있다. 인공전자피부는 사람의 손가락 피부 구조와 기능을
모사
해 다양한 물리적 신호를 감지한다. 그림은 로봇에 인공전자피부를 적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 모식도. - UNIST 제공 연구팀은 이 점에 착안해 전도성 고분자 복합소재 필름에 돔 모양의 돌기를 만들었다. 그리고 ... ...
뇌처럼 작동하는 ‘삼차원’ 반도체칩 개발
2015.10.19
있고 둘을 연결하는 통로에 병목 현상이 자주 발생했기 때문이다. 최근 인간의 뇌를
모사
한 인공지능 반도체칩이 개발됐지만 평면에 펼쳐져 있어 면적을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은 연산을 수행하는 반도체 회로 위에 신호의 경로를 조절하는 나노기계 회로를 올리는 방식으로 ... ...
2cm 몸으로 14cm 점프 ‘소금쟁이 로봇’
2015.07.31
넘지 않을 정도로만 힘을 준다. 연구진은 소금쟁이의 도약 과정을 로봇으로
모사
하기 위해 형상기억합금을 소재로 썼다. 형상기억합금은 잘 휘면서도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는 특성이 있어 로봇이 물에 떠 있을 때와 도약할 때 다리 모양을 바꿀 수 있다. 연구진은 다리에 초경량 액추에이터(구동 ... ...
저는 말랑한 ‘개구리 로봇’입니다
2015.07.14
수평으로는 75cm까지 폴짝폴짝 뛸 수 있다. 보통 생체모방 로봇은 생물의 뛰는 방법을
모사
하기 마련이지만 이 로봇은 개구리 뒷다리를 흉내 내지 않고도 개구리의 점프력을 재현했다. 개구리 로봇의 점프 비결은 로봇 아래쪽에 붙어 있는 말랑한 렌즈다. 평소에는 렌즈의 오목한 면이 아래로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