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학
보존
뉴스
"
보존과학
"(으)로 총 79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세기 민족과 운명 함께 한 한반도 고유종 미선나무
동아사이언스
l
2019.03.02
미선나무 꽃의 모습. 한국 고유 식물종인 미선나무는 3월에서 4월 사이 개나리와 비슷한 모양의 꽃망울을 터트린다. 국립수목원 제공 한반도 특산식물인 미선나무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주목을 받고 있다. 미선나무는 학계에 처음 보고된지 올해로 100년을 맞았다. 한국 식물학의 개척자인 정 ... ...
美 화성탐사 로버 오퍼튜니티 사망 이틀만에 큐리오시티도 '안전모드'
동아사이언스
l
2019.02.26
이달15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선 큐리오시티가 촬영한 셀카. NASA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가 원인 미상의 안전모드에 들어가 사흘동안 움직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NASA는 큐리오시티가 지난 15일 화성에 있는 샤프산을 오르던 도중 갑자기 안전모드에 ... ...
이웃한 은하가 은하를 변화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2
부자은하M51은 나선팔 끝에 동반 은하 NGC 5195가 함께 관측된다.NASA/JPL-Caltech 제공 한국 과학자들이 은하가 이웃한 은하의 회전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규명했다. 우리 은하를 비롯해 대다수 은하가 회전을 하는데 간혹 서로 가까이 스쳐지날 때 상호작용이 일어나면서 서로 영향을 ... ...
[의학게시판]루푸스의 날' 공개강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이 27일 오후 2시부터 본관 지하 대강당에서 제19회 ‘루푸스의 날’을 맞아 공개강좌를 개최한다. 루푸스는 가임기 여성을 포함한 젊은 나이에 발병하며, 면역계의 이상으로 온몸에 염증이 생기는 만성 자가면역질환이다. 이번 강좌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루푸스의 치료 ... ...
[이강운의 곤충記]아가미 있는 곤충의 겨울나기
2019.02.20
당뇨에, 고혈압에, 최근에는 허리 디스크까지 온갖 병을 달고 다녀 ‘종합병원’으로 불리지만 늘 시간이 부족해 진짜 병원은 제 때 들르지 못했다. 깊은 산중에 연구소가 있으니 들고 나는 일 자체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아직은 괜찮을 것이란 막연한 자신감도 있었다. 작년 연말 동네 병원 의사가 ... ...
경남 진주에서 피부 자국까지 완벽한 공룡 발자국 화석 세계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2.19
미니사우리푸스의 복원 상상도. 몸길이 30cm 미만으로 닭보다 작다. Zifeng Wang 제공 경남 진주에서 피부 자국까지 완벽하게 보존된 공룡 발자국 피부 자국 화석이 세계 최초로 발견됐다. 공룡의 발바닥 피부가 생생하게 밝혀진 것은 물론, 공룡이 걸을 때 피부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밝히는 데 큰 도움 ... ...
부부 과학자, 비브리오균의 생존전략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중앙대 생명과학과 이강석 교수, 약학부 배지현 교수. 중앙대 제공 국내 대학에서 활동하는 부부 과학자가 병원성 세균이 환경 변화에 적응해 살아남는 유전적 비밀을 알아냈다. 중앙대 생명과학과 이강석 교수와 약학부 배지현 교수 연구팀은 패혈증을 일으키는 비브리오균이 변이 리보솜RNA(rRNA ... ...
'90.5를 기억하라'…인간마저 위협하는 플라스틱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2.09
사진 작가 크리스 조던이 태평양에 있는 ‘미드웨이섬’에서 찍은 플라스틱을 먹고 죽은 알바트로스 모습. 플라스틱을 먹고 죽은 새의 시체를 촬영했다. 뼈와 함께 남은 플라스틱의 모습이 새가 받았던 고통을 전해주는 듯하다. Chris Jordan 벨기에 화학자 레오 베이클라이트가 1907년에 플라스틱을 발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의 겨울나기…숨을 죽이다
2019.02.06
인간을 포함한 척추동물과 곤충은 발생, 성장 등 생리적으로 많이 다르지만 가장 확실한 차이점은 산소를 세포 안으로 들이고 이산화탄소를 세포 밖으로 내보내는, 호흡 방법일 것이다. 숨 쉬는 일을 통해 살아있는 세포에게 산소를 공급하여 영양소를 만들고 대사 물질인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은 ... ...
실험기간만 ‘500년', 인간수명 넘어서는 과학프로젝트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4
동결 건조된 박테리아를 확대한 모습. 박테리아의 수명을 밝히기 위한 500년간의 초장기 연구 프로젝트의 첫 분석 결과가 지난해 12월 발표됐다. - 유튜브 캡처 2514년 스코틀랜드 에든버러대. 이곳에 들어온 생물학자 가운데 누군가는 500년 된 건조 박테리아를 꺼내 키우기 위해 영국 런던으로 가 나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