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료
원료
원재료
설비
시설
농업경제학
경제학
뉴스
"
자재
"(으)로 총 623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년에 ‘문’ 빌리지… 200명 입주한다
2016.04.15
미국 업체인 자크와 공동으로 구상한 화성 기지 예상도. 건물의 하단부부터
자재
를 쌓아 올리는 ‘3차원 적층 건설기술’이 적용됐다. - 한국건설기술연구소 ... ...
사지마비 환자 최후의 보루, 눈으로 대화할 수 있는 ‘안구 마우스’ 개발
2016.04.15
한양대 생체공학과 제공 카메라 없이도 눈동자의 움직임을 추적해 사지 마비 환자도 자유
자재
로 글자를 쓸 수 있도록 돕는 ‘안구 마우스’가 개발됐다. 임창환 한양대 생체공학과 교수팀은 눈 주위 피부에서 측정되는 전기신호인 ‘안구 전도’를 이용해 눈동자의 움직임으로 글자를 쓸 수 있도록 ... ...
수중 드론으로 바다 속 초정밀 지도 완성
2016.04.09
헤엄칠 수 있어 일명 ‘수중 드론’이라고 불린다. 하늘을 나는 드론처럼 물속을 자유
자재
로 움직이며 고성능 카메라 장비로 해저 지형을 촬영한다. 연구팀은 2013년 사이클롭스 개발을 마치고 성능 개선을 거쳐 2015년 3월 실제 해저 탐사를 진행했다. 이렇게 얻어낸 데이터를 분석하고 5㎝ 단위로 ... ...
어긋난 두 정의의 충돌… 배트맨과 슈퍼맨의 싸움
2016.04.03
정도가 되려나. 반면 슈퍼맨는 언제나 ‘절대 영웅’ 그 자체로 묘사됐다. 하늘을 자유
자재
로 날아다니는데다 힘이 얼마나 센 지는 측정하기도 어렵다. 지구의 자전을 거꾸로 돌려놓는 모습이 나올 정도니 사실상 무한대라 해도 문제가 없다. 슈퍼맨이 배트맨을 이기고 싶다면 먼 발치에서 ... ...
빛과 열로 신경세포 활성 조절
2016.03.30
촉진에는 용이한 반면 억제에는 효과가 적고, 광유전학 기술은 신경세포 활성을 자유
자재
로 조절할 수 있지만 유전자 조작이 까다로워 한계가 있었다. 앞서 연구팀은 2014년 신경세포가 광열 자극에 노출될 때 활성이 억제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해 열을 내는 금 나노막대에 ... ...
[웨어러블 로봇의 세계]로봇 옷 입고 ’아이언맨’ 변신, 준비됐나요?
2016.03.26
시작했다. 조금 전까지 휘청대던 김 교관은 ‘위잉, 위잉’ 하는 기계음을 울리며 자유
자재
로 걷기 시작했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자 금방 로봇에 익숙해진 듯, 실험장소로 쓰고 있던 소방학교 체력단련실 내부를 성큼성큼 돌아다녔다. 웨어러블 로봇은 엑소스켈리턴(exoskeleton) 로봇이라고도 ... ...
빛만 쪼여주면 몸 속 상처 자유
자재
로 치료
2016.03.23
김원종 그룹리더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작은 치료용 물질인 일산화질소를 자유
자재
로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이번 연구의 성과”라며 “간편한 빛 처리 만으로 일산화질소의 방출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다양한 질환의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 ...
로봇보다 인공지능? 구글 ‘보스턴 다이내믹스’ 매물로
2016.03.20
다이내믹스가 개발한 두발로봇 ‘아틀라스’의 새로운 모델. 눈 덮힌 산길을 자유
자재
로 걸어다닐 만큼 운동성능이 뛰어나다. - 보스턴 다이내믹스 제공 세계적 수준의 로봇기술 전문기업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매물’로 나왔다.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구글이 보유한 로봇 전문기업으로 사람처럼 ... ...
英은행, 로봇서비스 확대… 상담사 550명 감원
동아일보
l
2016.03.15
확대하는 대신 창구 인력을 줄이기로 했다. 로봇 어드바이저는 환율과 금리, 원
자재
가격 같은 금융 빅데이터를 분석해 이용자에게 맞는 투자 상품을 추천해준다. 온라인을 통해 재정 정보를 입력한 뒤 투자 목적과 기간, 목표수익률 등의 질문에 답하면 투자유형과 성향을 분석해 적합한 상품을 ... ...
‘투명망토’ ‘스텔스 잠수함’ 만드는 메타물질, 손쉽게 설계한다
2016.02.25
존재하지 않는 구조의 ‘메타물질’이 있다. 빛이나 전파에 대한 물리적인 성질을 자유
자재
로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메타물질을 손쉽게 설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메타물질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 김동철 서강대 기계공학과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