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치
설비
기구
비품
지식
기능
소양
뉴스
"
장비
"(으)로 총 4,16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관 삽입 없이 방광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측정하고 신체에서 자연스럽게 용해되는 이식형 방광 플랫폼을 만들었다. 모니터링
장비
제거를 위한 수술이 불필요하고 합병증 위험도 줄일 수 있다. 비인간 영장류를 통해 확인한 이번 실험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 지난 2일 발표됐다. ■ 포스텍은 김기문·심지훈 화학과 ... ...
[人투더스페이스]② "우주청, 민간이 이익 내는 구조 만들어야…R&D 인재 사천 유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생산해야 한다. 송월테크놀로지가 가장 잘 하는 것이 자동화를 했을 때 효율이 높은
장비
나 설비로 생산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앞으로 이 기술에 대한 R&D를 계속할 계획이다. 자동화 자체가 한국이 잘 하고 있는 분야다." Q. 5월 개청을 앞둔 우주항공청의 방향성에 대해 제언한다면. "제일 중요한 ... ...
R&D예산 줄어도 학생연구원 늘어난 출연연 속사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연구자들은 이같은 미봉책은 오래 가지 못할 것이라 걱정했다. 서울대 한 교수는 “
장비
의 사용 횟수, 세포배양 실험 횟수, 효소 샘플 소비 횟수 등 실험에 필요한 모든 재료 비용을 줄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재료비가 빠듯해지면서 데이터를 넉넉하게 확보하지 못하고 실험 실패에 더욱 ... ...
獨 막스플랑크 회장 "한국에도 막스플랑크 센터 세울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있어야 양국에서 유능한 인재들이 몰려들고 돈도 모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좋은
장비
와 좋은 사람을 유치해야 더 높은 차원에서 연구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에 막스플랑크 센터 개설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 노도영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은 "심사 과정을 거쳐야 하기 ... ...
[사이언스게시판] ETRI, 美 NAB서 AI시대 미디어 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14~17일 열리는 국제방송
장비
전시회(NAB 2024)에 방송·미디어 최신기술을 선보인다. AI를 활용한 미디어 서비스 핵심기술들을 소개할 계획으로 전시 기술은 △메타데이터 자동 생성 및 영상 검색 기술 △샷 예측 및 가상 샷 생성 기술 ... ...
7년 만에 북미 개기일식 관측 '열기'…고대 미신이 과학의 영역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미리 예측할 수 있게 됐다.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비밀이 풀린 일식은 특정한
장비
없이도 관측이 가능하다. 먼저 손을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손바닥을 위로 올리고 한 손을 다른 손 위에 90도 각도로 위치시킨 다음 손가락을 살짝 벌린 채 격자 모양으로 교차시킨다. 이 틈을 통해 태양을 ... ...
표준연, 6G 안테나 측정
장비
국산화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5G 통신의 아쉬운 경험을 거울삼아 한국은 6G 인프라 구축을 우선해야 하는 상황인데 측정
장비
개발은 그 한 축을 담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9년 4월 한국은 세계 최초로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야심차게 시작했지만 품질과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국내 통신 3사가 5G 주파수를 반납한 바 있다 ... ...
고성능 레이더 탑재 軍 정찰위성2호기 발사…궤도 진입 성공·예비교신 실패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있지만, 날씨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구름이 많이 낀 날에는 임무 수행이 제한된다. IR
장비
는 온도 차에 따라 구분되는 적외선 검출 센서를 이용해 영상 정보를 획득해 야간에도 촬영이 가능하다. EO과 IR 위성(1호기)도 주야간 촬영은 가능하나 기상 조건에 영향을 받는 데 비해 SAR 위성(2호기)은 ... ...
맞춤형 나노소재 빠르게 개발하는 AI 연구실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위한 AI 비전기술을 개발해 스마트연구실에 탑재했다. 이 기술 덕분에 실험실 내 연구
장비
와 재료 등 다양한 물체를 감지하고 이상이 있으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연구팀은 "AI와 로봇을 활용한 스마트연구실은 연구개발(R&D) 인력 감소로 인해 연구를 지속적으로 ... ...
미국서 장기 이식 건수 드라마틱하게 늘어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장기 보존 기술의 걸림돌은 비용이다. 미국에서 신체 외부에서 장기를 관류할 수 있는
장비
를 구하는 데는 6만5000달러(8775만원)의 비용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