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스페셜
"
그림
"(으)로 총 629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변이 740만개 찾았다… 역대 최대 규모 연구결과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6.08.21
연구를 진행했다. ‘네이처’ 18일자 표지에는 ‘엑솜(exome)’이란 단어를 유전자
그림
형태로 디자인한 이미지가 실렸다. 엑솜은 유전자 중에서 단백질을 만드는 부분이다. 전체 유전자의 1%에 불과하지만 엑솜에 문제가 생기면 질병이 발생하기 쉽다. 이번 주 네이처 표지 논문은 인간 유전자 ... ...
땀 흘린 뒤 마신 시원한 맥주 맛을 잊을 수 없는 이유
2016.08.16
보여주기만 할 경우 갈증뉴런의 스위치는 꺼지지 않았다. 즉 목마를 때
그림
속의 물은
그림
속의 물일뿐 갈증해소에 도움이 안 된다는 말이다. 또 물이 없는 물통을 핥아도 소용이 없었다. 반면 소금물을 마시거나 차가운 금속막대를 핥을 경우 갈증뉴런의 활동이 일시적으로 줄어들었다. 즉 ... ...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
동아사이언스
l
2016.08.01
전문성을 판단해 투표로 표지를 선정하고 있다”며 “다만 경쟁 학술지에 비슷한
그림
이 실렸다면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표지를 목표로 화려한 그래픽 제작을 의뢰한다. 조금이라도 확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과학저널 ‘사이언스’의 7월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름다운 화음? 그건 ‘문화’의 산물
동아사이언스
l
2016.07.31
28일자 표지에는 어울림음정(도와 솔)과 불협화음(파와 시)의 진동수를 나타낸
그림
이 실렸다. 서양음악에선 두 음의 진동수 비가 1:1, 1:2, 2:3, 3:4 등으로 구성돼 ‘완전어울림음정’이라고 불리는 화음이 가장 많이 쓰인다. 그 다음으로 진동수의 비가 4:5, 5:6, 3:5, 5:8인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82년 선천면역의 하나인 식작용을 처음 발견했다. 그의 저서 ‘감염질환의 면역’에 실린
그림
으로 기니피그의 대식세포 안에 대장균(빨간색)이 들어 있다. - 감염질환의 면역 제공 ● 노인학의 창시자 한편 면역논쟁이 가라앉을 무렵 면역연구에 대한 메치니코프의 관심도 점차 사그라졌다. 계기는 ... ...
1300년 전 당나라 사람들은 오로라 봤다!
2016.06.27
함께 언급된 경우는 제외했다. ‘천원옥력상이부’에는 ‘흰 무지개(白虹)’를 묘사한
그림
도 있다. 최근 백홍 역시 오로라라는 주장을 담은 논문이 나왔다. - PASJ 제공 ● 과거 태양의 활동 추측하는데 도움 그런데 저자들은 무슨 근거로 백홍과 홍예가 오로라를 뜻한다고 주장하는 걸까. 글자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2016.06.13
또는 자기합리화?). 먼저 팔레트 이론이다.
그림
을 배울 때는 기본색 몇 가지만 갖고
그림
을 그리라고 하지만(물감을 이리저리 섞으면서 색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화가들에게 ‘그 물감’이 아니면 안 되는 ‘그 색’이 있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고급 향수에 필수 원료였던 사향(머스크)을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유리하다(오른쪽)는 실험결과가 1950년대 나오면서 유명해졌다. - 에드먼드 포드 제공 숨은
그림
찾기 같은 이 두 사진은 1975년 출간된 영국의 생태유전학자 에드먼드 포드의 저서 ‘생태유전학’ 4판에 나온다. 중고교 때 생물공부를 열심히 한 사람은 ‘아 이 사진!’하며 반가워할 것이다. 다윈의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
2016.05.30
뭔가가 있는가보다. 꽃잎의 색은 빛의 흡수와 반사, 투과의 효과가 종합된 결과다.
그림
은 꽃잎의 앞면(adaxial side. 꽃을 오므렸을 때 안쪽)에 빛이 들어왔을 때(I) 경로를 보여준다. 꽃잎을 이루는 세포의 구조에 따라 반사(R)와 투과(T)가 일어난다. - 영국왕립학회보 B 제공 ● 빛의 흡수와 반사, ... ...
피해망상과 환각…조현병(정신분열증)의 원인은?
2016.05.23
환자의 뇌(오른쪽)는 건강한 사람의 뇌(왼쪽)에 비해 뇌의 수축이 더 빠르게 일어난다.
그림
에서 빨간 부분이 수축률이 높은 영역으로 환자의 전두엽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 Elsevier Science Publishing/Tyrone Cannon 제공 ● 선진국 도시 환자가 증상 더 심각 보통 질병에 걸리면 의료체계가 잘 돼 있는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