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명
저명
명성
유망
우수
현저함
빼어난
스페셜
"
유명
"(으)로 총 70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음식과 요리를 만나 새로운 길을 찾다
IBS
l
2016.02.29
조리법은 천차만별이다. 그 중에서도 '분자요리'는 가장 핫한 조리법이다. 방송으로
유명
세를 탄 분자요리는 현장에서 활용된 역사가 그리 길지 않다. 요리와 과학의 독특한 조합인 분자요리는, 과학을 통해 신비한 맛의 세계를 탐험하는 과감하고도 정밀한 조리법이다.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요리 ... ...
똑똑한 온실을 넘어 지속가능한 농업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6.02.26
지나는데, 각각의 화분에 자동으로 물과 영양소를 공급한다. - PRIVA 제공 세계적으로
유명
한 네덜란드의 농산물은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은 아마 튤립부터 떠올릴 것이다. 실제로 네덜란드의 화훼시장의 거래량은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 그러나 네덜란드가 세계 2위의 토마토 수출국이라는 ... ...
삶을 압축해 놓은 작은 공간, 큐브(Cube, 1997)
IBS
l
2016.02.03
영화 관람이 될 거라고 귀띔했다. 열린 결말은 과학에도 중요해 큐브는 열린 결말로
유명
하다. 결말에 대해서도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김 연구위원은 영화가 마지막 장면을 통해 또 다른 세계의 시작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열린 결말의 영화를 좋아한다고. 열린 결말이 갖고 ... ...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
IBS
l
2016.02.01
밝혀내 RNA생성의 비밀에 다가선 것이다. 이 연구는 지난 1월 1일 생명과학분야 세계
유명
학술지인 에 실려 새해 벽두부터 국내외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김빛내리 단장과 우재성 IBS 연구위원(서울대 연구교수)는 ‘드로셔-DGCR8’ 단백질 복합체가 1개의 드로셔와 2개의 DGCR8 분자로 구성돼 ... ...
꽃처럼 아름다운 눈결정에 담긴 비밀
2016.01.18
적었던 것이다. 나카야는 온도와 습도의 조건을 달리해 눈결정을 키웠고 그 결과 그
유명
한 ‘눈결정 형태학 도표(snow crystal morphology diagram)’(나카야 도표로도 불린다)를 완성했다. 일본 물리학자 나카야 우키치로는 실험실에서 온도와 습도 조건을 바꿔 다양한 형태의 눈결정을 만든 뒤 이를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개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살다간 석유갑부 ‘모리스 스트롱’
2016.01.10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습니다. 2015년도 한 해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
을 달리했습니다. 이번에도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과거와 마찬가지로 과학저널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부고가 실린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네이처’에는 ‘부고(obituary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
2016.01.09
4년 옥스퍼드에서 태어난 리사 브로노우스키의 아버지는 수학자이자 생물학자, 저술가인
유명
인 제이콥 브로노우스키(Jacob Bronowski)로 국내에도 ‘인간 등정의 발자취’ 등 브로노우스키의 책이 여러 권 번역돼 있다. 아버지의 영향으로 케임브리지대에서 수학을 공부한 브로노우스키는 얼마 안 가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홀로 연구해 노벨상까지 탄 ‘리처드 헤크’
2016.01.08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습니다. 2015년도 한 해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
을 달리했습니다. 이번에도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과거와 마찬가지로 과학저널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부고가 실린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네이처’에는 ‘부고(obituary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에이즈 환자 목숨 구한 면역학자 ‘윌리엄 폴’
2016.01.07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습니다. 2015년도 한 해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
을 달리했습니다. 이번에도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과거와 마찬가지로 과학저널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부고가 실린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네이처’에는 ‘부고(obituary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
2016.01.06
학계에 데뷔했다. 데이비슨은 1937년 뉴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모리스는
유명
한 화가로 여름이면 프로빈스타운에서 여름예술학교를 열었다. 여기서 펜실베이니아대의 세포생리학자 헤일브룬 교수의 아내로 화가인 엘렌을 알게 됐다. 이 인연으로 모리스는 아들을 여름방학 때 우즈홀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