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부대
술고래
오스트레일리아
술꾸더기
술꾸러기
술보
술푸대
스페셜
"
호주
"(으)로 총 57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지의 친척인류’ 데니소바인 두개골 파편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섞여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는 물론 뉴질랜드와 파푸아뉴기니 등 멜라네시아 일대와
호주
원주민에게도 수%의 데니소바인 DNA가 발견되고 있다. 데니소바인은 화석이 귀한 것으로 유명하다. 5개 화석 가운데 지난해 게놈이 해독된 ‘데니소바 11번’ 개체는 약 9만 년 전에 살던 13세 정도의 소녀의 ... ...
가장 건강한 식단의 공식 '좋은 탄수화물+低단백질'
동아사이언스
l
2019.02.20
단백질을 다이어트의 동반자라고 생각했던 기존 상식을 뒤엎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호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안 건강의학연구소와 영국 켄트대, 영국 사우스햄튼대 공동연구팀은 고단백질 식단이 오히려 수명을 단축시킨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14일 발표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동일한 생존전략 택한 세 지역의 토끼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세 곳의 토끼가 어떻게 살아남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구팀은
호주
와 프랑스, 영국의 유럽 토끼 152마리의 게놈 서열을 분석했다. 사는 곳과 환경이 달랐음에도 세 곳의 토끼는 DNA속 비슷한 위치의 면역 관련 유전자가 변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 ...
2040년 메이드인 코리아 수소차 620만대 전 세계 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참여하는 ‘수소경제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로드맵을 준비해 왔다. 현재 미국과 일본,
호주
등이 수소경제 연구 경쟁을 벌이고 있으나 아직 초기 단계이고, 한국이 이미 수소차와 연료전지 분야에서 세계적 기술력을 확보하고 수소 생산 경험과 인프라를 보유한 만큼 세계의 수소 경제를 이끌 ... ...
[표지로 읽는 과학] 현실로 성큼 다가온 양자 네트워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두 양자 사이의 얽힘 상태를 구현하는 기술이 속속 발전하고 있다. 쉐렌 베르노프스키
호주
양자광학및양자정보연구소 연구원은 “양자 네트워크를 구현하려면 더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 양자얽힘 상태를 만드는 것과 함께 동시에 여러 곳에서 양자얽힘을 만들어 내는 것도 중요하다”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개체수가 크게 줄어든 것도 문제지만 서식지 단절로 인한 근친교배도 심각하다. 특히
호주
남부의 코알라가 더 심해 고환이 비정상인 개체가 태어나고 있다. 따라서 유전자 다양성이 큰 북부 코알라를 데려와 유전자를 풍부하게 만드는 일이 시급하다. 다만 이주할 개체를 선별할 때 감염 여부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보베리의 가설을 100여 년 만에 명쾌하게 증명한 논문이 실렸다.
호주
멜버른대 연구자들은 먼저 사람의 유전자 1만7318개를 진화의 역사에 따라 16단계로 나눴다. 즉 지구에 생물이 나타난 이후 원핵생물만 살던 시절부터 있던 유전자가 1단계이고 진핵생물이 나오면서 생긴 유전자가 2단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적이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후자의 주장을 잠깐 살펴본다. 이 진영을 대표하는 인물은
호주
모나쉬대 소화기내과의 피터 깁슨 교수로 밀가루 음식 관련 질환을 호소하는 환자의 일부는 글루텐이나 다른 단백질이 원인이겠지만 다수는 다른 게 원인이라고 주장하며 여기에 포드맵(FODMAPs)이라는 ... ...
현생 인류, 이웃 종 데니소바인과 적어도 2번 교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6
(현지시각) 학술지 ‘셀’에 발표했다. GIB 데니소바인의 흔적은 파퓨아뉴기니와
호주
원주민 등 남서태평양 지역에서 많이 나타난다. 브라우닝 교수는 “현대 파뉴아뉴기니인 등과 데니소바인은 약 5%의 유전적 특징을 공유한다”며 “데니소바인이 아시아 내륙 지방이 아닌 남아시아를 통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나타나
호주
가 감귤류의 원산지라는 가설을 일축했다. 감귤류 식물은 대략 400만 년 전
호주
로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지난번에 순종 만다린이 없어 당황했던 연구자들은 이번에 중국 곳곳에서 만다린을 수집했고 그 결과 게놈을 해독한 만다린이 28가지나 됐다. 그 가운데 5가지가 포멜로의 유전자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