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06
소박한 꿈은 고등학교 교사가 되는 것. 그 경우 일단 대학의 조교로 남았다가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전출되어 가는 것이 관례처럼 돼 있었다. 예를 들어 아라우 주립학교에 있었던 물리학의 투프슈미트는 취리히 공과대학 이론물리학 H.F.베버교수의 조교였다.그런데 디플롬 합격자 4명 중 ... ...
한국과학원 설립 연구 보고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306
교육을 제창한 공학교육가이다.USAID 전문가팀의 간사 역할을 맡았단 필자는 베네딕트
박사
와 함께 선발대로서 자료수집과 보고서 작성을 맡았다. 당시 30세의 뉴욕 공대 교수였던 필자가 세계적인 학자들과 함께 한국 교육 역사의 한 장을 여는 일을 추진할 수 있었던 것은 김기형 초대 과기처 장관을 ... ...
한국 기술 교육 대학
과학동아
l
199306
이낙주
박사
가 맡았고 교무처장은 '사관학교'식 운영을 고려해 육사교수를 지낸 신창균
박사
를 초빙했다.그밖의 교수는 공채했는데, 모집대상 25명에 2백50여 명이 몰려 10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이같은 경쟁률은 신입생 선발에서도 나타났다. 지난 해 개교하면서 신입생을 선발할 때에는 평균 24대 1로 ... ...
서울대 물리학과 김제완 교수
과학동아
l
199306
있는 일이라면 거부하지 않았다. 원고집필은 물론 TV 출연도 마다하지 않았고 호킹
박사
를 비롯 유명한 석학들이 우리나라를 찾아 대중강연을 할 때도 궂은 일을 마다하지 않고 좇아다녔다.언제인가는 기자가 찾아가 양자역학이 어려워 잘 이해가 안된다고 하자 "처음부터 모른다고 하지말고 우선 ... ...
메모리,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과학동아
l
199306
역할을 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하게 된 데는 '프로그램 내장방식'을 창안한 폰 노이만
박사
의 공이 크다. 그래서 오늘날의 컴퓨터를 때로는 '폰 노이만 방식 컴퓨터'라 부르기도 한다. 폰노이만 방식의 컴퓨터 이전에는 컴퓨터가 해야 할 일을 사람이 일일이 배선(配線)해주거나, 역회전이 불가능한 ... ...
낮잠 15분이 두뇌활력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305
그런데 15분 동안 눈을 감고 있는 것만으로도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게 시라카와
박사
의 말이다. 두뇌의 휴식을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자극을 막아야 하는데, 이 자극의 3분의 2는 시각정보이기 때문이다. 결국 눈을 감고만 있어도 뇌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는 이야기다. 짧은 ... ...
조개·콜라겐 이용, 손상된 뼈·피부 재생
과학동아
l
199305
여기서는 진주조개와 콜라겐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생리학자 이베얀 로페스
박사
는 진주조개의 안쪽에 붙은 진주층이 인간의 뼈와 같은 다공체임을 밝혀내면서" 조개의 겉껍데기는 조직이 치밀해서 사용하기 어려우나 안쪽의 진주층은 이용 가치가 있다"고 언명한 바 있다.파리에 사는 ... ...
부란과 미르 앞세워 새 활로 찾는 옛소련 우주항공기술
과학동아
l
199305
러시아의 우주개발계획은 앞으로 개방화 국제화 상업화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다.지금까지 국내에 소개된 옛소련의 우주항공관계 자료는 대부분 미국이 제공한 것이다. 따라서 우주개발 역사를 볼 때 미국과 더불어 옛소련이 또 하나의 커다란 흐름을 이루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옛소련의 우 ... ...
라플레시아
과학동아
l
199305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곳이다. 1818년 영국의 라플레(Raffles) 부부와 조셉 아놀드
박사
(Joseph Arnold)가 여기에서 이 꽃을 발견한 후 많은 식물학자들이 이곳을 찾았다.그러나 이 꽃에 관해 학술적으로 알려진 바는 많지 않다. 최근 자연이 훼손되면서 이 꽃의 수가 해마다 줄어든다는 바룬(Bahrun, 인도네시아 ... ...
「헌팅톤 무도병」 유전자 비밀 밝혀져
과학동아
l
199305
이상증세를 유발하는가 하는 것이었다.그러나 이 연구에 참가한 미시간 대학의 콜린스
박사
는 "지금까지 알려진 것은 이 단백질이 흔히 알고 있는 단백질과 다르다는 점뿐"이라며 정밀한 진단방법의 한 종류로서 돌연변이를 이용하기 전까지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
이전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