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4,40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심판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08
m단위의 오차가 생기기 때문에 간발의 차이로 갈리는 판정에 쓰기 어렵다. 전파가
사람
의 몸에 막히거나 굴절되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22명의 선수가 전파를 방해해서 생기는 오류는 공의 위치를 파악하기 더욱 어렵게 만든다. 게다가 악의를 가진 관중이 고의로 방해전파를 발사해 시스템을 ... ...
이제는 우측보행 시대!
과학동아
l
201008
지난 7월 1일자로 우리나라는 공식적으로 ‘우측보행’을 실시하는 나라가 됐다. 지금까지 90년 가까이 좌측보행이었기 때문에 사실상 모든 국민이 그동안의 보행습관을 바꿔 ... 적응을 하지요.”내년 이맘쯤이면 ‘우리가 언제 좌측보행을 했었나’라고 생각하는
사람
들도 있지 않을까 ... ...
한국판 ‘아이언맨 로봇’ 120kg 들고 9시간 활동
과학동아
l
201008
영화 ‘아바타’, ‘아이언맨’ 등에서 볼 수 있는 ‘입는 로봇’을 국내에서 군사용 로봇으로 개발하고 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생 ... 개발한 8개의 유압식 액추에이터가 달려 있다.생기원 장재호 박사는 “하이퍼는
사람
과 짐, 로봇의 무게를 합해 300kg을 짊어지고 움직인다”고 말했다 ... ...
말라리아 없는 모기
과학동아
l
201008
변형 모기가 야생 모기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매년 말라리에감염되는
사람
은 2억~3억 명에 달한다.최근 미국 애리조나대의 곤충학자 마이클 리엘과 그의 연구팀은 인간에게 말라리아를 옮기지 않는 모기를 만들어내고 세계적인 생물학저널인 ‘플로스 패서전’ 7월호를 통해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08
불모지에 가깝다. 몇몇 인터넷 동호회를 중심으로 이른바 ‘물생활’을 즐기는
사람
들이 모여 활발히 정보를 교류하고 있지만, 아직 대부분의 자료를 해외에 의존하는 실정이다.물속에 꾸민 나만의 정원수초는 수조 내부를 아름답게 장식하는 동시에 생산자의 역할을 한다. 물속의 영양분과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08
많은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이 식욕을 결정하는데 관여하고 있다.그런데 왜 비만인
사람
들은 렙틴의 강력한 명령에도 불구하고 식탐을 줄이지 못하는 걸까. 렙틴의 신호가 무시되는 현상, 즉 ‘렙틴 저항성’은 비대한 지방조직에서 많은 양의 렙틴이 지속적으로 분비되면서 결국 이 신호에 ... ...
가장 빠른 반도체를 디자인하다
과학동아
l
201008
강조했다. 특히 공학적인 디자인 감각이 넘치고, 스티브 잡스 같이 세상을 바꾸고 싶은
사람
을 환영한다고 한다. 정 교수는 “공대에 들어오면 전공 과목도 열심히 공부해야 하지만 특허나 경영 수업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요즘 우수한 자연계 학생들이 공대와 의대를 놓고 많이 망설인다는데 ... ...
“평범한 우등생보다 잠재력이 중요”
과학동아
l
201008
선발했다. 입학사정관은 어떻게 구성되나?입학사정관은 다양한 경력을 가진
사람
으로 구성된다. 고등학교 교육에 대해 잘 알아야하기 때문에 고등학교에서 경험이 풍부한 선생님이 포함된다. 현재 전임으로 있는 입학사정관은 8명이다. 오랫동안 고등학교 주임 교사로 일했고 수능출제 경험이 있는 ... ...
전송 오류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1008
한 자리를 바꿨을 때 이것이 또 다른 의미 있는 메시지를 표현하는 문자열이 된다면 받은
사람
은 오류를 발견하지 못하고 엉뚱하게 해독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통신이론 연구자들은 메시지를 문자열로 바꾸는 방식을 개선해 수신자가 스스로 전송 ... ...
경험을 측정하는 시대
과학동아
l
201008
듯 가깝게 표현했지만 배경을 비롯한 나머지 물체는 뒤로 쑥 들어가게 만들었다. 하지만
사람
마다 물체의 깊이를 지각하는 정도가 다르다. 또 과장된 입체영상을 계속해서 보면 눈의 피로도가 급격히 높아진다. 연구팀은 시청자의 안전을 위해 화면에 표현할 수 있는 영상의 깊이를 규정하려는 ... ...
이전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