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나의 은하가 여섯개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10
4개, 내부에 2개의 천체 모습이 보인다. 실제 이 천체는 중력렌즈보다 7억광년 더 떨어진
곳
에 있는 하나의 은하다.중력렌즈는 우주에서 질량이 어떻게 분포하는지 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의 중요한 관심사였다. 특히 이번 중력렌즈는 어떻게 은하가 서로 작용하는지에 대한 ... ...
지능검사 새로운 바람 분다
과학동아
l
200110
발생하기 쉬운 언어, 수리 검사를 배제하고 주어진 도형들의 관계를 추리해 비어있는
곳
에 맞는 도형을 찾아내는 검사법이다. IQ 검사에서 상위 2%내의 지능 지수를 가진 사람들의 모임인 멘사(MENSA)에서도 이 검사를 채택하고 있다.한국 멘사의 국제 고문 심리학자인 하대현 숙명여대 교수는“레이븐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10
찾아 나선 어린 소년이.청평 양수발전처 : 밤에 남는 유휴 전력을 이용해 물을 높은
곳
으로 끌어 올려 저장해 놨다가 낮에 전기가 많이 필요할 때는 역으로 발전을 하는 발전소를 말한다. 청평 양수발전처는 경기도 가평군 호명산에 위치하고 있다. 청평댐의 물을 끌어 올려 상부 저수지인 호명호에 ... ...
허준은 해부를 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0110
본거지인 이탈리아에 해당하는 이야기일 뿐 다른 유럽 여러나라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곳
이 많았다.1543년 ‘인체의 구조에 관하여’라는 해부학 책을 발표해 갈레노스 의학의 잘못된 점을 2백가지 이상이나 주장한 베살리우스는 프랑스에서 의학을 공부한 후 모국인 벨기에에서 해부학을 가르치던 ... ...
스스로 사이보그가 된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09
감정까지 알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워릭 교수는 고소공포증이 있기 때문에 높은
곳
에 가면 손이 떨린다고 한다. 이때 손가락의 떨림은 신경을 통해 칩에 전달되고, 이 신호가 인터넷을 통해 멀리 있는 아내에게 전해진다. 그 결과 아내는 텔레파시를 하는 것처럼 남편이 처한 상황을 인식할 수 ... ...
기출문제 정복해 2학기 수시 노린다
과학동아
l
200109
곳
에서 유포된 소프트웨어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감기가 유행할 때 사람이 많은
곳
을 피하거나, 전염병이 유행하는 지역으로 여행을 삼가는 것과 유사한 방법이다. 즉 생물학 바이러스의 보균자일수도 있는 대상과 가능한 접촉을 피함으로써 바이러스의 전파를 막을 수 있는 것처럼, 컴퓨터 ... ...
한국 2001년 과학축제 쌍두마차 대한민국과학축전 ·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과학동아
l
200109
다양한 이벤트와 함께 펼쳐졌다.이 중 사람들의 발길을 가장 오랫동안 머물게 한
곳
은 체험과학전. 체험과학전은 중·고등학교 과학반이나 학급의 학생들이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해 선보였다. 작년에 이어 두번째이기 때문에 노하우가 축적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찾아온 방문자는 직접 체험을 ... ...
약되는 독, 독되는 약
과학동아
l
200109
저해제로 작용함으로써 독작용을 나타낸다. 아세틸콜린은 신경과 근육을 이어주는
곳
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로, 우리가 근육을 수축할 때 아세틸콜린이 분비돼 수축을 일으킨다. 만일 아세틸콜린의 분비가 부족하면 신경과 근육이 제 기능을 발휘 못해 근육 마비가 일어날 것이다.인류가 ... ...
너무나 엽기적인 그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09
살짝 담갔다가 먹는 것을 좋아한다. 커피숍에서도 대개 커피와 함께 비스켓을 팔며, 어떤
곳
에서는 커피와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비스켓을 아예 테이블 위에 놓아두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왜 비스켓을 커피에 찍어 먹으면 더 맛있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또 비스켓을 커피에 찍어 ... ...
천혜의 생태계 민통선 희귀식물
과학동아
l
200109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특히 김철수 교사는“민통선지역에 대한 선입견을 깼다”며“이
곳
에서도 우리 지역에 사는 식물을 만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한 민통선지역에 자생하는 키큰 소나무는 산업가치가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탐사의 지도교수였던 이병천 박사는“교사들이 식물의 ... ...
이전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