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의 비밀 밝힌 로제타 스톤,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티민이, 구아닌과 시토신이 짝을 이룸을 뜻한다.또 하나의 연구결과는 DNA의 구조를 알려
줄
수 있는 상세한 X선회절 사진이었다. 이것은 1952년 프랭클린이 제공했다. 그동안 왓슨과 크릭은 DNA의 구조가 3중나선 구조일 거라고 생각해왔다. 그러나 아무리 계산해도 DNA를 복제하기엔 이가 맞지 않았다. ... ...
고통에 대한 두려움이 고통을 유발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준비상태로 만드는지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만성적인 고통에 시달리는 사람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의 리더인 가티 박사는 예를 들어 편두통에 시달리는 사람은 편두통이 시작된다는 단서가 나타나면 그 예감으로 편두통이 더 악화된다는 것을 지적한다. 고통 자체를 ... ...
돌리의 생체시계는 몇 시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조혈기관, 그리고 피부에 이상이 생겼다. 예를 들어 생식기관의 크기가 현저히
줄
고 비정상적인 모양이 발생했으며, 6대에 이르렀을 때 아예 생식기능이 사라졌다. 혈액이 만들어지는 능력이나 피부의 상처 회복력 역시 현저히 떨어졌다. 더욱 흥미로운 점은 텔로미어가 보다 짧은 생쥐를 대상으로 ... ...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방진 - 대각선법만들고자 차수의 방진을 그리고 그 외부에 한 칸씩을 더 그린다. 맨 윗
줄
중앙 칸을 1로부터 시작해 대각선으로 순서대로 숫자를 써 나간다. 바깥쪽 칸에 쓰여지는 숫자는 다시 반대편 칸에 이동해 채우고 이어서 대각선으로 계속 숫자를 써 나간다. 대각선이 이미 차 있으면 아래로 ... ...
10대들의 고민 여드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어른들이 나이가 들면 다 없어진다라고 하는 말은 바로 안드로겐 호르몬의 양이
줄
어든다는 것과 일맥상통한다.하지만 이 말이 외모에 신경을 쓰는 사춘기의 학생들에게는 위로가 되지 못한다. 너무 심각한 고민에 빠져서 학업성적이 떨어진 것은 물론 자살까지 생각하는 여학생도 있으니 말이다. ... ...
원격수술로봇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내시경 수술이나 뇌수술에서 물리적으로 보조해
줄
로봇이 있다면 의사들의 피로는 훨씬
줄
어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환자들은 아직 선뜻 내켜하지 않는 모양이다. 그러나 이러한 망설임도 서서히 사라질 것이다. 이미 대퇴골 교체 수술과 뇌수술시 위치를 안내하는 로봇시스템이 안정성있게 ... ...
2. 달착륙 생방송은 조작극?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위반하는 것이 된다.그러나 NASA는 달에 성조기를 꽂지 않을 수 없었다. NASA의 돈
줄
을 쥐고 있는 의회가 이를 강력하게 희망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깃발의 의미를 나름대로 해석하기 시작했다. 1962년 9월 12일 케네디대통령의 라이스대학 연설도 도움이 됐다. “전세계인들은 우주를 보고, 달을 보고, 그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에피소드 I'은 특수효과의 테크놀러지로 화려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빈약한
줄
거리와 탄탄하지 못한 과학적 설정으로 긴장감이 떨어진다는 것이 영화를 본 사람들의 중평이다.그러나 조지 루카스는 전혀 걱정하지 않는 것 같다. 평론가들의 악평에도 불구하고, 관객들은 어린 시절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인공위성’에 관한 학술세미나가 끝나는 것이 못내 아쉬운 듯 과학자들은 자리를 뜰
줄
몰랐다. 냉전시대에 동서 진영의 과학자들이 한자리 모인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기 때문이다.서방국가 과학자들은 철저하게 베일에 가려있는 러시아의 로켓기술에 조금이라도 더 알아보려고 저마다 ... ...
생명에너지 기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유도된다. 따라서 심령술사들은 환자가 마음으로 신체의 자연치유력을 이용하도록 도와
줄
따름이며, 환자는 자신의 몸을 마음으로 조절하여 스스로 병을 고치게 된다. 어쨌거나 마음으로 질병을 고치는 메커니즘이 과학적으로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신앙요법이나 심령요법으로 효험을 본 사례들이 ... ...
이전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