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으로 아기 키웠던 네안데르탈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함께 살았어요. 그러면서 혼혈아가 많이 태어났지요.1500세대 정도가 지나자 낮은 이마, 큰 코, 원뿔 모양을 한 갈비뼈, 거칠고 굵은 손뼈 같은 우리만의 독특한 특징들을 잃어버리게 됐지요. 진화 경쟁에 밀렸다기보다 다른 인류에 자연스럽게 흡수된 거예요.2010년에 우리 네안데르탈인의 게놈 지도가 ... ...
- 서울공대 카페 12 건설환경공학부 김호경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보람을 더 크게 느낄 수 있다고 한다.“예를 들어 제가 있는 연구실은 인천대교 같은 큰 교량이 강한 바람에 쓰러지지 않도록 만드는 내풍 설계를 연구하고 있어요. 수많은 사람들의 안전과 생명에 직결되는 문제지요.”그래서 김 교수는 학생을 뽑을 때 가장 먼저 공공성을 생각하는지 살펴본다고 ... ...
- 로봇아, 멸종위기 코모도 도마뱀을 구해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하겠다”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외국 참가팀의 작품을 보는 것도 참가 학생들에게는 큰 소득이었다. DDS팀 이성우 군은 “경쟁팀 중에는 속도가 빠른 모터를 쓰면서도 정확하게 제어하는 로봇을 만들거나, 우리 팀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만든 팀이 있었다”며 “외국 친구들과 교류를 하면서 ... ...
- [가상 인터뷰] 무엇이든 잘 먹는 수달, 생태계의 VIP로 뽑히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그 결과 수명이 길며 다양한 종을 먹는 육식 동물들이 멸종할 때 생태계가 가장 큰 위협을 받는 것으로 나왔다고 해요. 우리 수달도 그 중 하나죠. 처음에 소개했듯이 우린 물가에서 잡히는 것이라면 별로 편식하지 않거든요.그렇군요. 수달 외에 또 누가 생태계의 VIP로 뽑혔나요?왜가리나 ... ...
- 20세기 기하학의 방향을 바꾼 동양의 작은 거인, 천싱선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그를 스승이자 친구로 여겼는데, 이 영특한 젊은 수학자는 그 뒤에 투자분야에 뛰어들어 큰 부자가 되었다.오늘날 한국 최고의 거부인 이건희 회장보다 더 부자가 된 사이먼스는 그의 스승이 버클리에 세운 수리과학연구소에 상당한 기부를 해서 천 강당(Chern Hall)이 건립되는 데 기여를 했다. 뿐만 ... ...
- 선박의 안전을 지켜주는 슬로싱 방지 기술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배를 만들 때 특허료를 많이 내야만 했습니다. 김용환 교수 연구팀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대형 슬로싱 실험 인프라를 만들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기술이 외국으로 유출될 가능성을 줄이고 실험 비용도 3분의 1 정도로 낮췄습니다.어떤 프로젝트가 진행 중인가요? 슬로싱 연구 이외에도 ...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최고가 되는 것이지요.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엔지니어로서 거시적인 안목을 가지고 큰일을 하고 싶습니다.” 전 이사는 후배 엔지니어들이 즐겁게 일할 수 있도록 돕고, 고객 회사에 훌륭한 솔루션을 쓸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이 앞으로의 목표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그는 지금도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하다가는 우리나라가 매우 힘들어질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하는 가장 큰 착각은 우리가 상당히 발전했다는 것입니다. 한 나라가 어려워지는 건 순식간의 일인데 가장 빠른 지름길은 목적에 위반되거나 스스로를 불안하게 만들면서 어디에 종속되게 만들어갈 때입니다.” 행복함을 ...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유학이었습니다.” 승진의 아픔을 생쥐와 함께 한창 일에 빠져 있던 정 원장에게 가장 큰 시련이 닥쳐왔다. 5급 사무관 승진에서 두 번이나 미끄러진 것이다. 늘 일 잘하고 능력있다는 말을 들어온 정 원장은 당연히 자기가 승진할 것이라 생각했다. 처음 떨어졌을 때는 그러려니 했다. 두 번째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정도 이뤄냈다. 하지만 항공기 강국은 어느나라나 군용보다는 민수용 항공기 생산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도 항공·우주 분야 강국으로 거듭나려면 무엇보다 민수용 항공기를 개발하고 시장을 창출에 성공해야 한다는게 그의 주장이다. 이 과정에서 가장 곤란한 건 역시 외국기업과의 ... ...
이전5175185195205215225235245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