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6,036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려
동물
1000만 시대, 개와 고양이의 과학 ③] 스트레스 받으면 음악을
2016.02.04
클래식 음악이 효과가 높았다. 로리 코건 미국 콜로라도주립대 임상과학부 교수팀은
동물
보호소의 개 117마리에게 클래식, 헤비메탈 등 다양한 음악을 각각 45분 동안 들려주고 반응을 관찰했다. 그 결과 개들은 클래식 음악을 들려줄 때 가장 안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바흐의 ‘G선상의 ... ...
세계 상위 1% 한국인 과학자는 누구?
과학동아
l
2016.02.04
경상대)·박주현(영남대) 등 3명, 농학 분야에서는 김대옥(경희대)·김세권(부경대) 등 2명,
동물
학및식물학 분야에서는 박충모(서울대) 교수가 선정됐다. 현택환 교수는 소재과학 분야에서도 선정되는 영예를 누렸다. ... ...
호랑이 얼굴 때린 남자 ‘포착’
팝뉴스
l
2016.02.04
반응이었다. 관련 영상은 즉시 온라인은 물론 SNS를 통해 퍼졌다. 그리고 많은 이들이 “
동물
학대를 중지하라”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일부는 타이거 템플 관광 거부 운동에 나선 상태다. 지난 2001년 문을 연 타이거 템플에는 현재 143마리의 호랑이가 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 편집자주 ... ...
[반려
동물
1000만 시대, 개와 고양이의 과학 ②] 먹이에 대한 본능은 정반대
2016.02.03
교수팀은 2014년 이 같은 습관이 오히려 고양이의 비만을 불러온다는 연구 결과를 ‘
동물
과학저널(Journal of Animal science)’에 발표했다. 고양이는 주인이 먹이를 줄 기미가 보일 때 가장 많은 움직임을 보인다. 하루 4차례 먹이를 주거나 불규칙한 빈도로 사료를 제공할 때 고양이의 활동이 가장 ... ...
[반려
동물
1000만 시대, 개와 고양이의 과학 ①] 달라도 너무 다른 둘
2016.02.02
가득 채우고 있는 가장 ‘핫’한 친구 고양이. 하지만 이 둘은 사람과 가장 가까운 반려
동물
이라는 공통점 외에는 습성이나 생활 방식이 전혀 다르다. 고양이가 물을 마시기 직전의 모습. 혀를 살짝 구부린 것을 볼 수 있다. - 로만 스토커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제공 ● 물 밀어올리고 vs. 물 ... ...
강인한 생명력, 벼락 맞은 들소 생존
팝뉴스
l
2016.01.31
‘스파키’라는 이름의 들소는 현재 11살이고 미국 아이오와의 닐 스미스 국립 야생
동물
보호지역에 산다. 2013년 7월 이 들소는 벼락을 맞았다. 스파키는 벼락을 맞은 직후 큰 상처를 입었고 뒷다리가 퉁퉁 부었다. 낙뢰가 뒷다리를 타고 땅으로 흘러들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들은 들소가 ... ...
[토요이슈]호랑이 털 1000만 가닥 한 올 한 올 “살아있네”
동아일보
l
2016.01.30
털 1000만 가닥 심은 ‘대호’ 그동안 한국 영화에서 자체 기술력으로 100% 3D CG로 구현한
동물
캐릭터는 2013년 ‘미스터 고’의 고릴라 링링이 유일했다. 그나마 링링은 인간과 움직임이 유사한 영장류로 모션캡처 기술(사물에 센서를 달아 움직임 정보를 받아 영상 속에 재현하는 기술)을 사용해 ... ...
우리나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1.29
볼 수 있다. - 현수랑 기자 hsr@donga.com 제공 수산과학관에는 바다에 사는 다양한 연체
동물
의 모형이 전시돼 있다. - 현수랑 기자 hsr@donga.com 제공 미래 바다목장을 모형으로 나타낸 전시물. - 현수랑 기자 hsr@donga.com 제공 ● 수산과학관에 놀러와~! 지금까지 바다에 대해 공부했다면 이젠 ... ...
3D 프린터로 한옥 짓고 초임계 기술로 목재 건조
2016.01.29
한옥을 짓는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있다. 현재 3D 프린터에서 접착제로 사용되는 소재가
동물
실험에서 태아에게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등 유해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문 연구원은 이를 옻이나 아교, 홍합 단백질 등 친환경적이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바꾸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문 연구원은 ... ...
세 살 버릇 여든 가는 이유는? ‘뇌 신경’ 때문
2016.01.27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같은 뇌 기저핵의 변화가 사람을 비롯해 모든
동물
이 평소 습관을 쉽게 깨기 어려운 이유일 것으로 추정했다. 카라코스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습관에 관여하는 신경 경로를 밝혀낸 것으로 사람들이 원하는 습관을 갖거나 나쁜 습관을 없애는데 ... ...
이전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