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무
부담
책무
담당
임무
가중
맡은이
뉴스
"
책임
"(으)로 총 5,58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괴물 군단 물리치는 메시, 루니, 호날두?
2015.01.25
비하면 몇 배나 많은 관객들이 인터스텔라를 보기 위해 영화관을 찾은 것이다. 이 영화는
책임
프로듀서로 미국의 이론 천체물리학자인 킵 손 교수가 참여하는 등 처음부터 ‘과학을 주제로 삼겠다’고 작정하고 만들었다. 영화가 대히트를 치자 다른 문화계도 덩달아 술렁이고 있다. ... ...
비싼 인듐 대신 값싼 은나노선 썼더니 대박!
2015.01.21
고효율 전극 소재를 값싸게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오영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
연구원은 기존에 태양전지에 사용하던 값비싼 인듐(In) 대신 은나노선을 이용한 전극 소재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스몰(Small)’ 1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했다. 전극은 전기를 흘려 보내주는 소재로 특히 ... ...
KISTEP, ‘2015 과학기술정책 10대 이슈’ 선정
2015.01.21
신 중흥시대 개척 ▲과학외교를 통한 글로벌 리더십 확보 노력 ▽과학기술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위한 이슈 ▲과학기술 기반 일자리 확충 ▲과학기술과 사회의 소통 실현 ▲신 위험사회에서의 과학기술 역할 정립 ... ...
양파 먹인 광어가 ‘쵝오’에요!
2015.01.21
전망이다. 김두운 전남대 식품공학과 교수팀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최종순, 권요셉
책임
연구원 팀은 양파에서 찾아낸 천연물질로 겨울철 광어의 새끼인 치어의 생존률을 6배 이상 높였다고 21일 밝혔다. 광어 떼죽음의 원인은 출혈성 패혈증 바이러스(VHSV). 이 바이러스는 광어에게 널리 ... ...
손톱만한 실험실을 만드는 그녀
동아사이언스
l
2015.01.16
방향에 대한 자문을 하게 됐어요. 우리나라 대표로 참여하게 되어 뿌듯한 마음과 무거운
책임
감을 느낍니다.” (1) 암세포의 chemotaxis 연구 (Integrative Biology, 2014), 식중독세균 유전자검사용 디스크 (Anal. Chem. 2014), 혈액기반 심근경색 다중마커 면역혈정검사용 디스크 (Anal. Chem. 2012) - 조윤경 교수 제공 ... ...
차세대 금속 ‘마그네슘’ 환경오염 없이 생산
2015.01.14
첨단 IT기기 산업에도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재료연구소 경량금속연구단 유봉선
책임
연구원팀은 ‘3세대 난연성 마그네슘 합금’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마그네슘을 금속소재로 만들면 강철보다 6배 이상 튼튼하지만 무게는 4분의 1수준으로 기존 철강제품을 대체할 수 있다. 하지만 ... ...
식품 硏 신임 원장에 박용곤
책임
연구원
2015.01.12
12일 한국식품연구원 신임 원장에 박용곤 식품연
책임
연구원(55·사진)을 선임했다. 박용곤 한국식품연구원 원장. - 한국식품연구원 제공 박 신임 원장은 영남대 식품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식품가공 및 식품미생물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8년 식품연에 입사한 뒤 ... ...
100km 떨어진 바다에서 문자메시지 ‘OK’
2015.01.09
속도는 최대 76.8Kbps로 육지와 문자 통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수준이다. 김대호
책임
연구원은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최근 논의 중인 해상통신 국제표준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2017년경 상용화 예정”이라고 말했다. ... ...
남한 곳곳에 北 땅굴 있다고? 그건 ‘거짓말’
2015.01.09
물에 젖은 땅이 전기가 더 잘 흐르는 특성을 활용한 것이다. 김창렬 지질자원연구원
책임
연구원은 “시추공 안에 5~10m 간격으로 전극을 설치한 뒤 시추공 사이의 전류 흐름을 분석하면 된다”면서 “땅속에 빈 공간이 있어 싱크홀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지역에서는 전류 흐름이 잘 끊기고 제대로 ... ...
내 이름은 ‘봉우리’, 내 임무는 센서~
2015.01.08
최근 브래들리 베이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기능커넥토믹스연구단
책임
연구원 팀은 이 활동전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단백질 센서 ‘봉우리’를 개발했다. 봉우리는 센서가 전압을 감지해 마치 산봉우리 같은 그래프를 내놓는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단백질 ... ...
이전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