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이저에서 광컴퓨터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증가될 수 없다. 이용할
에너지
가 고갈되는 효과를 고려해, (n+1)번 지난 후의 펄스
에너지
를 다음 점화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Xn+1=r Xn(1-Xn)생태계 종의 밀도도 이 모델로 설명할 수 있어 생태론자와 생물학자들이 많이 연구하고 있다. 광의 경우 r은 증폭하기 위한 이득과 관련되며, r의 크기에 ... ...
하이브리드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있다.그렇다면 정체가 심한 곳에서는 비록 속도를 내는데는 불리하지만 청결한 전기
에너지
를 사용하고, 비교적 주행여건이 좋은 외곽도로나 고속도로에서는 속도에 관한한 타의추종을 불허하는 휘발유를 활용하면 어떨까. 이것이 바로 하이브리드자동차의 탄생배경인데, 어찌 생각하면 ... ...
합금을 먹고 달리는 수소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등 이상(異常)연소다. 이러한 이상연소는 수소연료의 빠른 연소속도와 작은 점화
에너지
에도 쉽게 착화(着火)되는 특성에 기인한다.흡기관 내에서 폭발을 일으키기도 하는 역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린더 내로 수소연료가 직접 분사되는 시스템이 개발돼야 한다. 실린더 내의 열면(hot surface) ... ...
햇볕없는 곳에서도 신나게 달리는 태양
에너지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결코 적지 않다.첫째로 요소부품들의 성능과 그것들의 높은 가격이 문제다. 즉 태양
에너지
자동차의 핵심부품은 태양광전지 MPT 배터리 모터등인데 현재 개발돼 있는 이 부품들은 성능에 비해 가격이 훨씬 비싸다. 특히 태양광
에너지
를 전기
에너지
로 변환시켜 주는 태양광전지는 원료나 제조방법에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로켓을 쳐다 보면 금세 이해할 수 있다. 비행기 운행경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에너지
비용을 아끼자면 동체의 중량을 가급적 줄여야 하는데 그동안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들이 그런 역할을 담당해 왔다.자동차의 경량화작전에도 알루미늄합금의 기여도가 앞으로 차츰 커질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축전지를 수중에서 사용하므로 동력을 공급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단위 무게당 고
에너지
밀도를 갖는 특수축전지, 예를 들면 니켈-카드뮴전지나 은-아연전지의 개발이 요구되며, 방전시에 발생하는 수소가스로부터 안전도가 확보되어야 한다.해수는 이에 녹아있는 염분이온때문에 담수보다 약 ... ...
(2) 6공 과학기술정책을 움직이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양심에 따라 생각하고 실천하는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현재 아주대 석좌교수로 있으면서
에너지
문제연구소를 이끌고 있다.안면도 해결사로 6공에 합류한 김진현장관은 과기처 최초의 비과학도 출신장관이면서 숲을 볼 줄 아는 넓은 안목의 소유자로 평가된다.과학기술주권론의 철저한 신봉자로 ... ...
생물체도 비약을 통해 진화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문자 그대로 역사적인 구성체다. 전체적인 유기체는 연속적으로
에너지
흐름(식물의 광합성에 의해 사용된 태양빛)과 물질(영양분의 형태)의 흐름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변화시켜서 어떤 다른 쓰레기를 환경으로 내보낸다.물리화학적 자기조직화와 생물학적 질서사이에 특별히 ... ...
저녁 놀 빛깔로 대기오염도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것이다. 결국 파장이 제일짧아 가장 많이 산란된 파랑색 계열은 대기층을 통과하며 거의
에너지
를 잃어 하늘에는 붉은 놀이 펼쳐지게 된다는 것이다.그러면 해질녘이 아닌 다른 시간대에는 왜 파란 하늘을 보게 될까? 일출(日出)과 일몰(日沒)시에는 태양광이 비스듬하게 경사진 각도로 들어와 ... ...
80억달러 규모 초전도 가속기계획에 일본 참여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대체로 토론의 주역은 고
에너지
물리학 이외의 일본 학자들과 미국측이었다. 일본 고
에너지
물리학 연구자들은 내심 미국측 입장에 공감을 표시하면서 타분야 연구자들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묵묵히 앉아있었다.이들은 와인버그교수가 지적한 바와 같이 SSC가 인류가 건설할 최후의 가속기가 될 ... ...
이전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