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168건 검색되었습니다.
KAIST-연세대, 암세포가 면역세포 힘 떨어트리는 원리
발견
2019.11.13
기능을 억제하기 위해 PD-1을 많이 만드는 유전자 발현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것도
발견
했다. 혈관내피형성인자(VEGF)는 T세포에 달라붙어 '톡스' 단백질을 유도한다. 톡스는 T세포의 기능을 억제하기 위해 PD-1을 많이 발현한다. 연구팀은 이 과정을 억제하는 VEGF 억제제를 투입하면 면역항암제 치료 ... ...
美 중서부에 농구공만한 유성 떨어져 "보름달보다 밝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3
주 세인트루이스와 알바니 인근 카메라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약 95㎞ 고도에서 처음
발견
됐다”고 밝혔다. 미국유성협회가 제보를 토대로 재구성한 유성의 진행 경로다.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 상공에서 빛을 내기 시작해 웰스빌 상공에서 소멸했다. 미국유성협회 제공 NASA에 따르면 이번에 ... ...
우리은하 중심 블랙홀이 쏘아올린 속도위반 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11.13
많은 위성들도 비슷한 원리로 동반 소천체를 바깥으로 보낸 결과 탄생했다. 이번에
발견
된 별의 궤적이다. 1억 년 뒤에는 우리은하를 벗어나 다시 돌아오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호주국립대-카네기멜론대 제공 연구팀은 이 별이 약 1억 년 뒤면 우리 은하를 벗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일단 은하를 ... ...
신고리2호기, 정기검사 마치고 재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19.11.13
않았다. 증기발생기 세관에서는 원격 카메라가 부착된 이물질 제거 장비를 통해
발견
한 110개 이물질이 모두 제거됐다. 이물질은 작은 선이나 금속 찌꺼기 등으로 최대 18㎜ 길이의 작은 이물질들이었다. 원자로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봉구동장치 조작하는 계통인 제어봉제어계통 설비를 개선해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배란일 다음날 관계하면 딸 낳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2
배란일 등을 이용해 성별을 선택해 임신할 수 있다는 내용의 논문이 있는지 찾아봤지만
발견
하지 못했다. 고기-오징어-연어 많이 먹고 산성 지켜라 미국의 한 제약회사에서 판매중인 윤활제. 산성인 질내 환경을 알칼리성으로 바꿔 정자의 생존율과 수정 성공률을 높이는 원리다. 국내 일부 ... ...
"1위만 독식하는 시장, 게놈 데이터·AI로 무장한 '정밀의학'으로 돌파"
동아사이언스
l
2019.11.12
개인 맞춤형 암백신을 만들 수 있다. 김 대표는 그 중에서도 사람들 사이에서 공통으로
발견
되는 변이의 신항원에 주목하고 있다. 그는 “신항원의 단백질 3차원 구조를 AI 예측모델로 검증한다”며 “오픈소스를 쓰면 10%, 글로벌 대기업이 40%를 현재 예측하는데 신테카바이오는 현재 80%까지 ... ...
호박(琥珀) 속 곤충서 9천900만년 전 꽃가루 매개 확인
연합뉴스
l
2019.11.12
천900만년 전 송진이 굳어 만들어진 호박(琥珀) 속에서 꽃벼룩과(科) 딱정벌레와 꽃가루가
발견
돼 곤충의 화분 매개에 대한 가장 오래된 화석 증거로 학계에 보고됐다. 이는 곤충의 화분 매개 증거를 5천만년 이상 끌어올리며 가설로만 남아있던 백악기 중기 곤충에 의한 속씨식물의 폭발적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짜게 먹으면 치매 걸릴 위험성 높다
2019.11.12
과도하게 인산화된 타우(tau) 단백질이 신경세포(뉴런)에 축적되게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타우 단백질은 미세소관이라는 뉴런 내 도로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타우 단백질이 너무 많이 만들어지거나 미세소관에서 떨어져 나가면 서로 엉켜 뉴런 내부에 쌓인다. 이런 단백질을 ... ...
100년에 13번만 펼쳐지는 '수성의 태양면 통과쇼' 영상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2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태양관측위성(SDO) 광학 관측센서인 대기집합영상(AIA) 193 필터로 촬영한 수성이 태양 단면을 통과하는 모습이다. NASA 제공 수성이 태양 단면을 5시간 26분간 ... 제자 디디에 쿠엘로 제네바대 교수도 이 방법을 이용해 1995년 처음 외계행성의 존재를
발견
했다. ... ...
‘깊은 잠’이 보약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연구팀은 서파수면 비율이 줄어든 노인에게서 타우 단백질의 양이 늘어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메흐디 요르피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 연구팀도 3월 서파수면의 비율이 줄어들 경우 알츠하이머 치매를 유발하는 뇌 속 베타아밀로이드가 30%가량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 ...
이전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