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용
수요
사용
필수
필요경비
경비
필요사무
스페셜
"
필요
"(으)로 총 5,73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상용화 하려면 먼저 뇌파를 측정하는 현재 측정 장치의 불편함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필요
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 세계의 여러 연구그룹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필자의 연구실에서도 미래창조과학부의 공공안전복지 연구사업의 지원으로 건식형 전극 등에 기반해 착용이 간편한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
2015.01.20
했다. 특히 기존에는 다리 전체를 감싸는 형태가 많았지만 걸을 때 가장 많은 힘이
필요
한 허벅지 근육을 보조하는 ‘반바지’ 형태의 로봇으로 만들었다. 이 로봇의 최대 장점은 입고 벗기 편하다는 것. 지금까지 개발된 웨어러블 로봇은 혼자서 착용이 불가능하고 시간도 수십 분 넘게 걸리는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20
작게 만든 뒤 안구 바깥쪽 바로 옆에 붙여 수술 부담을 줄였다. 칼로 눈동자를 많이 열
필요
가 없이 눈 뒷부분을 2mm 정도만 열어도 이식이 가능하다. 이렇게 이식 한 장치는 카메라가 달린 안경다리와 무선으로 연결해 신호를 주고 받으며 시신경에 정보를 전달한다. 아직 임상실험은 시작하지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5.01.20
연결할
필요
도 없어 삶의 질이 훨씬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배터리와 마이크가
필요
없는 인공와우 소자를 개발한 건 이번이 세계적으로도 처음이다. 이 소자는 초소형 전자부품을 사용해 와우 속에서 소리의 높낮이를 분리해 주는 유모세포의 기능을 모방했다. 압전소자(소리의 압력을 ... ...
[이달의 역사] 새로운 심장을 고동치게 하라
KISTI
l
2015.01.19
걸쳐 심장 이식은 그다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는 못했다. 심장 이식 수술 이후 반드시
필요
한 면역 억제제의 부작용이 매우 심해서 수술 이후 1년 이상 생존하는 환자가 극히 드물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본격적인 심장 이식의 시대는 1983년부터 시작된다. 1983년은 효과가 뛰어나고 부작용이 적은 ... ...
웨어러블 컴퓨터의 핵심기술, 늘어나는 소자 늘어나야 입는다
IBS
l
2015.01.16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현재 개발 중인 웨어러블 기기의 기본 개념과 이에
필요
한 기술들은 벌써 한참 전에 개발이 완료됐다. 스마트폰과 소형 디스플레이, 이어폰만 있다면 그럴듯한 웨어러블 기기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 그러한 기술적 배경과 기술에 대한 신뢰가 있기에 지금은 오히려 ... ...
분자 동영상 촬영해 물질의 3차원 구조 밝힌다
IBS
l
2015.01.16
뷔트리히(2002년 노벨화학상) 등도 자기 분야에서 중요한 책을 출판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
가 있다. 특히 에른스트는 고분해능 핵자기공명 분광학을 개발해 NMR 분야를 개척한 사람 중 한 사람으로 인정받고 있다. 화학, 물리학, 생명과학 분야의 학제간 연구 꿈꾼다 서울대 화학과 석사과정에서 ... ...
[이슈 속 과학기술] 실종 비행기 어떻게 찾을까
KOITA
l
2015.01.14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사고와 실종사고를 구분해 생각할
필요
가 있다는 것이다. 이번 사고도 교신 두절 지점에서 100∼200㎞ 떨어진 곳에서 잔해를 발견했다. 이런 일은 실제로 자주 일어난다. 한 공군 관계자는 “과거에 지상으로 전투기가 추락해 현장수습을 해 ... ...
친환경 에너지 타운에 전통녹색기술 접목하자
동아사이언스
l
2015.01.14
새로운 개념에 전통녹색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정책적 제언과 실증이
필요
하다. 우리나라의 친환경 에너지 타운은 광주광역시(쓰레기매립지), 강원 홍천(가축분뇨처리시설), 충북 진천‧음성 혁신도시(하수처리시설)를 중심으로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향후 사업 모델을 ... ...
환경과 지역 함께 살리는 아이디어
동아사이언스
l
2015.01.14
달라져야 한다. 윤데 마을의 사례처럼 지역 주민들의 이해와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
한 것은 물론이다. 이번 공모전에는 여러지역의 주민들이 자신의 생활공간의 당면과제를 해결하려는 아이디어가 다양하게 출품됐으며, 이 중에는 당장 정책에 반영 가능한 것도 있었다. 공모전으로 모인 아이디어는 ... ...
이전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