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태양계 뉴페이스가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개 행성과도 같은 기울기였지요. 이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적인 시뮬레이션을 거친 결과, 6개의 천체 중심에 9번째 행성 후보인 ‘플래닛 나인’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어요.연구팀에 따르면 플래닛 나인의 크기는 지구의 5~10배 정도로 태양계 행성들 중 5번째로 크며, 질량은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황북기 교수님의 따끈따끈 실험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무너져 내린 팽팽한 현수교와 달리, 끈을 느슨하게 늘어뜨린 현수교는 500mL 콜라캔 5개에도 끄떡없이 버텼답니다.추운 날씨에 굳어 있던 기자들의 얼굴이 실험을 마칠 때 즈음엔 환하고 신나는 표정으로 바뀌었어요. 즐거운 과학실험이 기자들의 ‘난로’ 역할을 해 주었거든요. ... ...
- [수학뉴스] ‘지프의 법칙’ 얼마나 맞을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집단의 정보를 실제와 가장 가깝게 추정하는 통계기법인 ‘최대우도추정법’을 통해 3만 개의 텍스트를 분석했습니다. 모든 단어에 대해 등장 빈도와 순위를 조사한 결과 지프의 법칙은 40% 정도 들어맞았습니다. 자주 나오는 단어만 조사할 경우 법칙이 맞을 확률은 더 높아졌습니다.연구진은 ...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그룹으로 나눴다. 이를 ABC모델이라 부른다. 하지만 한 그룹마다 수 개, 많게는 수십~수백 개의 유전자가 들어 있다. 같은 그룹에 속해 있는 유전자끼리도 서로 돕거나 견제한다. 즉, 같은 그룹에 생긴 돌연변이라도 정확히 어떤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겼느냐에 따라 꽃의 모양이 달라질 수도 있다는 ... ...
- [소프트웨어] 일차 함수 그래프 그리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않아도 답을 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선형계획법에서는 부등식과 방정식이 여러 개 있어서 그래프가 만들어낸 영역이 구하고자 하는 답이 됩니다. 따라서 일차 함수의 그래프가 산업계 문제를 푸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콘텐츠·문제 출제 : 김종훈(엔트리교육연구소 연구원 ... ...
- [재미] 킹앤카_제 28화 위기의 화학실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보니 실험 시작 5분 전이었다. A용액과 B용액을 따로 준비해야 하는데, 두 용액은 1L 용기 6개에 뒤죽박죽 섞여 있었다. 두 용액은 눈으로 구별하기 어렵다. 게다가 이용할 수 있는 저울은 한 번 측정하는 데 2분이 걸리는 오래된 저울이다. 두 용액을 구별하는 유일한 방법은 A용액은 10ml당 2g, B용액은 1 ... ...
- [재미] 도넛처럼 생긴 적혈구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들어 있어요. 같은 양의 피 안에 다른 혈액세포인 백혈구가 약 8000개, 혈소판이 약 40만 개 들어 있는 것과 비교하면 적혈구가 상당히 많이 들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혈액 내 세포 중 90%를 차지하는 셈이지요. 그만큼 적혈구가 하는 일이 매우 중요합니다.적혈구가 어떻게 온몸에 산소를 ... ...
- [수학레시피] 생활에서 쉽게 찾는 비와 비율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비와 비율을 찾은 뒤, 앞서 살펴본 대로 비와 비율을 분류해 봅시다. 그러면 비와 비율의 개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교과서에서 배우는 대표적인 비율로는 원의 둘레와 원의 지름의 비를 나타내는 ‘원주율’이 있습니다. 비율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다면 5단원에서 배우게 될 ... ...
- [과학뉴스] 어린이 애니메이션, 어린이에게 해롭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중산층 이상 계급이 38개, 노동자 계급이 11개이고 아주 가난한 처지에 놓인 캐릭터는 단 3개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캐릭터들은 극중에서 가난을 대수롭지 않은 일이라고 생각했고, 오히려 노동자 신분으로 일하는 것을 매우 행복해했다. 한 예로 영화 ‘알라딘’에 등장하는 부유한 공주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해낸다. 아직까지는 단순한 개념을 받아들이는 기계에 불과하지만, 이런 기본적인 개념을 쌓고 쌓는다면 언젠가는 인간에 필적하는 지능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은 까마득한 길이지만 말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알파고 쇼크, 그 후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Part2. ... ...
이전5195205215225235245255265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