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1) 3백85㎏의 월석이 밝혀준 사실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거의 동시에 태어났다고 할 수밖에 없다.또한 월석의 화학적 조성이 지구의 암석과 크게
차이
가 나지 않는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달의 바다에는 철과 티탄이 풍부하고 대륙지대에는 알루미늄이 많이 포함돼 있다는 것이 특징. 한편 지구에는 1백종의 원소가 분포하지만 달에는 60여종밖에 없다는 ... ...
세계 기후모형 다시 제작해야 식물성 플랑크톤이 해수 온도를 높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식물성 플랑크톤이 존재하는 경우와 존재하지 않은 경우, 해수의 온도는 명백한
차이
를 드러냈다. 계절에 따라서도 바다의 온도가 달라졌는데 이 역시 식물성 플랑크톤의 양과 무관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이렇다. 식물성 플랑크톤 분포가 적었던 1월에는 해수의 온도를 높이는데 별로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사람에겐 호강"이라며 하루종일 걸어도 노두를 하나도 못 볼 수 있는 육지탐사와의
차이
에 놀라워했다.섬 북면 탐사에서 두드러져 보인 지형은 차별침식에 의한 시 스택(sea stack)과 해식애(sea cliff)의 발달. 지도교수는 울릉도의 비경으로 소개되는 공암(孔岩, 일명 코끼리 바위)과 삼선암(三仙岩) ... ...
거꾸로 매달린 허영심 많은 왕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다른 이중성은 3.2등급의 주성과 8등급의 반성으로 이루어진 베타 별로 이 별은 그 밝기
차이
가 가장 작은 망원경으로도 구별이 가능하다. 이 별 자체는 대략 0.1등급 정도의 밝기 변화를 가지고 있는데 맨눈으로는 그 변화를 알기가 불가능하다.이 별자리에서 마지막으로 관심을 가질만한 대상은 델타 ... ...
양식장 송어 방출에 비상령 내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때문이다.과학자들은 인공사육방식때문에 자연상태의 송어와 양식장의 것이 생태의
차이
를 나타낸다고 말한다. 양식장의 송어들은 크기별로 나뉘어진 채로 빛의 양이나 수온이 실제와는 다른 콘크리트탱크 속에 우글거리며 몰려산다. 날때부터 사람들이 던져주는 먹이를 받아먹으며 살았기 때문에 ... ...
5.극심한 생물계의 수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뤄지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한종에서 여러 종으로 분화될 수 있고, 종과 종 사이의
차이
가 매우 커지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오래된' 파충류의 종들은 대부분이 '새로운' 파충류의 종을 낳지만, 예외적인 어떤 갈래는 그들의 조상종과는 기본적인 구조가 다른 포유류의 조상이 된다. 따라서 생물의 ... ...
소프트웨어산업 내일 여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마련했지만 성과는 별무신통이었다. 일본인들은 소프트웨어부진의 원인을 사회구조적인
차이
에서 찾는다. 수직구조적인 일본 사회에서 자유분방한 사고방식과 독창성이 강한 유능한 프로그래머가 배출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벌써부터 '소프트웨어의 위기'라는 말이 일본인들의 입에서 심심찮게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필요성을 느끼지 않았다. 이러한 자연조건의
차이
가 동서양 사람들의 성격이나 의식의
차이
로까지 이어져 왔다고 생각할 수 있다.기도와 관련된 재미있는 연구가 있다. 식사를 하기 전에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기도 하면(그 기도가 하느님을 향한 것이든, 농사 짓는데 수고한 농부에 대한 것이든) ... ...
한여름밤의 4중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사진에서는 가스속 공간이 완전히 어둡게 나타나는데, 이같은
차이
는 이 성운이 빛의 파장에 따라 모습이 다르기 때문이다. 사진은 적색 파장에 민감한 필름이 주로 시용되며, 육안으로는 고리속의 노랑과 녹색의 가스를 민감하게 감지한다.성운 중앙에 있는 별은 1800년경 ... ...
1%만 절약하면 제주도에서 2년 쓴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30배 정도 전력을 소모한다. 여름철 실내 적정온도는 26℃ 정도 바깥온도와 5℃ 이상
차이
가 나면 냉방병에 걸릴 우려가 있다. 실내온도를 1℃ 높게 유지하면 20% 가량의 전력이 절약된다. 에어필터에 먼지가 끼면 5% 정도 효율이 떨어지므로 2주일에 한번 씩 청소해주도록 한다.냉장고에 음식을 가득 ... ...
이전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