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과학고로 대학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보인다. 지난해 전체 경쟁률은 19.5:1이었다. 보통 4월부터 원서를 접수해 최종 합격자
발표
는 7월 말에 한다. 과학고는 전국에 19개교가 있다. 입학정원이 적게는 40명(제주과학고)부터 160명(세종과학고)까지 다양하다. 전국적으로 1460명 정도 뽑는다. 대부분 과학고는 7월 말에 지원받지만 9월 초에 ... ...
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교수는 마이코박테리움 박카이(Mycobacterium vaccae)가 뇌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발표
했다. 이 균 역시 불안과 우울증세 완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이미 항우울제로 사용하고 있다. 연구팀은 무균쥐를 두 집단으로 나눠 한 집단에만 이 균이 섞인 먹이를 주고 미로찾기 실험을 했다.그 ... ...
기량 차 줄어드니 4할 타자 사라져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참조)’는 100여 일간 진행한 연구를 지난 4월 12일 마무리하고 첫 번째 연구 결과를
발표
했다. 백인천 프로젝트는 지난해 12월,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가 트위터를 통해 “4할 타자가 사라진 이유를 분석해 보자”고 제안해 결성된 프로젝트 연구 그룹으로, 58명의 평범한 직장인과 ... ...
기름 먹는 신소재, 원유 유출 해결책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연구 결과는 ‘네이처’가 발간하는 온라인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 13일자에
발표
됐다.CNT를 이용해 3차원 구조 물질을 실험하던 연구팀은 CNT에 미량의 붕소를 첨가하자 딱딱해야 하는 CNT가 스펀지처럼 말랑말랑해지는 것을 발견했다. 특히 이 물질은 기름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났다. 물에 ... ...
‘별의 단발마’ 항성풍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VLT)’을 이용해 노년기의 별 3개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4월 12일자 ‘네이처’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관측 결과를 이용해 강한 항성풍의 정체도 밝혀냈다고 밝혔다.노리스 교수는 초거대망원경에 수직과 수평으로 편광을 조절할 수 있는 간섭측정기를 설치했다. 그 뒤 180광년 떨어진 황새치자리 ... ...
곤충의 몸도 뚫는 거미의 송곳니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송곳니가 강력한 이유를 밝혀낸 논문을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스’ 4월 17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브라질 늑대 거미의 일종인 ‘쿠피니어스 살레이(Cupiennius salei)’의 송곳니 구조와 성분, 아연과 칼슘 등 금속이온의 농도변화 등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거미의 송곳니는 부위마다 다른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마이크로미터 크기에 이르는 구조물을 만드는 데도 성공해 학술지 ‘네이처 화학’에
발표
했다. 이들은 마치 조각퍼즐처럼 요철이 있는 DNA 오리가미를 만들어 서로 섞어주면 자기들이 알아서 퍼즐을 맞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나노 짐 운반하는 나노 로봇2009년 덴마크와 독일의 연구자들은 ... ...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오류 논란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연구소의 다른 팀에서 따로 중성미자의 속도를 잰 뒤 ‘빛보다 빠르지 않다’는 결과를
발표
했다. ‘이카루스(ICARUS)’ 팀이 진행한 이 실험은 작년 10월 21일부터 11월 6일까지 약 보름간 이뤄졌다. 오페라 팀과 마찬가지로 LHC의 양성자가속기에서 발사한 중성미자를 검출했다. 실험 기간이 짧아 7개의 ... ...
뇌조절 기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주면 직접 전류를 흘리지 않아도 뇌에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아이디어를
발표
했다. 하지만 시대를 너무 앞서간 탓에 실제로 사용되진 못했다. 자기장으로 뇌를 자극하는 ‘경두개자기자극(TMS)’ 장치는 1세기가 지난 1980년대 후반에서야 사람들이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장치는 2008년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사이의 분리는 500만 년전, 고릴라와의 계통 분리는 800만 년 전에 일어났다는 내용이
발표
됐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1000만 년 전 유인원은 인류가 아니라는 것이지요.그런데 정작 이 사실을 뒷받침할 만한 화석 자료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1970년대까지 최초의 인류 화석은 1920년대 ... ...
이전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