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양계 탄소순환의 연결고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플랑크톤은 어떻게 기후변화에 참여하고 있을까.우선 플랑크톤은 바다 표층을 데워주는
빛
을 흡수하거나 분산시킨다. 또 휘발성이 강한 유기합성물을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플랑크톤의 가장 결정적인 역할은 해양계 탄소순환에 참여하는 것이다.해양계의 탄소순환은 지구전체의 기후변화에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나아 있었다는 것이다.스타이거가 조사한 다른 자료에는 1978년 브라질의 80세된 노인이 은
빛
의 둥근 UFO에 피랍된 후, 두달 동안 새 치아들이 돋아났다는 사실이 기록돼 있었다.UFO조우사례에서 현대 의료진이 치료 불가능하다고 말하는 선천적인 기형이 치유된 사례도 있다. 버트렘이라는 사람은 ... ...
칩차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신들에게는 높고 낮은 등급이 주어졌다. 그중 창조신들이 1등급이었다. 칩차인은
빛
의 창조신인 치미니가구아(Chiminigagua)신과 부족의 어머니인 바체(Baché)신 그리고 태양신과 달신을 숭배했다. 태양신과 달신은 부부였는데 그들이 가뭄과 비 등을 창조한다고 믿었다. 여러 신중에서도 태양신을 가장 ... ...
벗겨지는 태양계의 신비④ 태양이 되려다 좌절한 목성(Jupiter)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운석공 영역의 색깔은 밝다. 그 이유는 운석이 충돌해 표면을 덮은 얼음층을 깨어서
빛
을 반사시킬 수 있게 만들었기 때문이다.목성에도 토성과 같이 가는 고리가 있음이 보이저 우주선에 의해서 밝혀졌다. 이 고리는 두께가 30㎞로 얇고 거의 투명하다. 이 고리를 이루고 있는 물질은 아주 작은 입자 ... ...
지상망원경과 우주망원경의 전쟁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안됐지만 이 천문대에서 찍은 최초의 사진이 공개됐다. NGC1232 은하를 촬영한 것으로
빛
의 세기를 강조해 색감으로 강약을 처리했다. 망원경은 대기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 곳에 설치할수록, 또한 직경이 크면 클수록 어두운 천체를 잘 살필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이 천문대의 망원경은 적격이다. ... ...
고향 찾아가는 희귀한 말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서로 어떻게 다르냐고? 큰 차이는 없다. 펄저왈스키 말을 보면 누구든 우둔하고 회갈색
빛
의 거친 털과 빈약한 갈기를 가진 조랑말 정도로 판단할 뿐이다. 그러나 상세히 비교해 보노라면 차이점이 있는데 그 중 가장 특이한 점은 에쿠우스 펄저왈스키의 세포속엔 평범한 에쿠우스 카발루스보다 유전 ... ...
한국에서 잡힌 UFO 10여곳에서 동시에 목격되기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떠있는 발광물체를 발견했다. 붉은 오렌지
빛
깔의 커다란 물체 하나와 각각 다른
빛
깔의 보다 작은 네개의 물체가 일렬로 서있는 모습이 뚜렷이 보였다는 것이다. 이들 괴물체는 5분 정도 그대로 떠있다 껌벅거리더니 그자리에서 그대로 사라져 버렸고, 오른쪽 가장자리의 작은 물체 하나만 갑자기 ... ...
모기의 침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연결해 움직이는 것이지만, 무선으로 전자파를 써서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도 있으며,
빛
에너지를 광섬유를 써서 전달하는 형태 등 여러가지가 있다.미소기기가 전진하면서 위치를 파악하거나, 장애물이 있음을 알아내거나, 온도나 환경상태를 식별할 수 있으려면 감지기(sensor)가 있어야 한다. ... ...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에니악이 아니었더라면 샹크스는 '원주율의 아버지'라는 이름으로 그 이름이 오랫동안
빛
났을 것이다. 그러나 겨우 '원주율의 이종사촌누이의 조카' 정도로 전락해 버리고 말았다. 모두들 악마와 같이 정확한 에니악의 능력에 두려움을 느낄 정도였다.지금도 컴퓨터간의 힘자랑에는 가끔씩 ... ...
빛
의 굴절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것이었다. 그런데 이제 두번째 아인슈타인 고리가 나타났으며 천문학자들은 그처럼
빛
을 내는 준성이 얼마나 멀리있는가를 말할 수 있게 됐다. 즉 28억 광년에 해당하는 거리이다.이외에도 천문학자들은 초점을 맞추어주는 물체도 밝혀냈다. 그것은 태양질량의 3천억배 가량되는 거대한 은하로서 그 ... ...
이전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