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뉴스
"
눈
"(으)로 총 5,91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양도성을 위한 상소문, 2014년 '만인소'
동아사이언스
l
2014.11.18
이를 오는 12월 문화재청에 전달할 예정이다. 상소문에는 20~30대와 어린 학생들의 글이
눈
에 띈다. 다섯 명의 대학생들은 “홍대, 대학로, 남산 등 젊은 세대가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의 활동을 통해 한양도성의 존재조차 몰랐던 그들에게 한양도성에 대한 관심을 심어줄 수 있었던 것이 이번 활동의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과학이 겨울을 즐겁게 하리라
2014.11.16
많은 사람들은 한 여름에도 스키를 타고 있다. 실내를 거대한 냉장고처럼 만들어
눈
을 유지하는 실내 스키장 덕분이다. 이런 스키장은 경사가 낮고 슬로프 길이도 짧아 사실 그리 큰 인기를 얻지는 못하고 있지만, 앞으로 온난화가 심화될수록 사철 스키를 탈 수 있는, 훌륭한 시설의 실내 스키장이 ... ...
영화 ‘인터스텔라’의 옥에 티, 찾아봤습니다
2014.11.14
● 웜홀 존재 아직 발견 안 돼 빛까지 삼켜버리는 강력한 중력 때문에 까맣고 어두워
눈
으로 볼 수 없을 것으로 여겨졌던 블랙홀은 영화에서 신비롭게 빛나는 공처럼 묘사된다. 김상욱 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는 “밝은 빛을 내뿜는 블랙홀의 모습은 매우 사실적”이라며 “중력렌즈 효과 때문에 ... ...
이런 스마트한 밀대 보셨나요?
2014.11.12
실시간으로 인식한다. 제품 윗면에는 디스플레이를 설치해 청소가 덜된 지역을 한
눈
에 알 수 있다. 또 바닥 곳곳에 가상의 목표물을 설정해 걸레가 그 위를 지나가면 점수를 얻는 게임 방식을 통해 청소에 즐거움을 더했다. 제품 윗면에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돼 있어 청소가 덜 된 지역을 ... ...
‘신이 내린 몸매’는 누가 만드나
2014.11.10
iStockphoto 제공 연구팀이 실제로 쥐에게 이 미생물을 이식했더니 쥐의 체중 증가량 역시
눈
에 띄게 줄어들었다. 연구팀은 심지어 이 미생물의 분포에 유전적 요소가 관여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실험에 참여한 쌍둥이 중 일란성 쌍둥이는 장내미생물 군집이 비슷한 반면 이란성 쌍둥이의 경우 ... ...
UNIST, 5년 만에 ‘대학의 기적’ 이룬 이유 살펴보니
2014.11.10
울산역에서 자동차로 15분을 달리자 거대한 전광판 위에 새겨진 ‘UNIST’ 팻말이
눈
에 들어왔다. 그 아래로 ‘변화를 선도한다(First in Change)’라는 문구도 선명하다. 올해 개교 5주년을 맞은 울산과학기술대(UNIST)의 미디어 타워다. 지난해 1회 학부 졸업생을 배출한 UNIST는 불과 5년 만에 ... ...
메이드인 코리아 ‘사이보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4.11.10
만든 뒤 안구 바깥쪽 바로 옆에 붙여 수술 부담을 줄였다. 정흠 교수는 “토끼에게 인공
눈
을 이식한 뒤 뇌파를 측정해 빛의 반응 여부를 확인했는데 그 결과가 상당히 좋았다”면서 “조만간 임상 시험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생체모방기술 활용해 인공 와우 개발 청력을 상실한 ... ...
이-바퀴벌레-흰개미 중 가장 먼저 등장한 곤충은?
2014.11.09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에는
눈
에 익은 곤충들이 등장했다. 마치 행과 열을 맞춰 줄을 서 있는 것 같은 이 곤충들은 이번호 사이언스에 발표된 ‘곤충 진화 연대표’에 따라 순서대로 늘어 놓은 것이다. 곤충은 자연계에서 가장 종 다양성이 풍부한 동물군이지만 각각의 곤충이 ... ...
안약으로 실명 원인 1위 질환 치료
2014.11.07
생명시스템과학대학 교수팀은 시신경세포가 죽지 않도록 돕는 화합물을 개발하고
눈
에 넣는 점안액으로 만드는 데 성공해 국내 제약업체인 국제약품에 기술을 이전했다고 7일 밝혔다. 황반변성은 전세계적으로 실명 원인 1위의 안과 질환으로 건성과 습성황반변성으로 나뉜다. 특히 환자 중 90%는 ... ...
당뇨에 비만에 암까지 잡는 이 열매는?
2014.11.05
이식한 뒤 암세포에 대한 유자 껍질 추출물의 효과도 확인했다. 대장암 세포 때문에
눈
에 띄게 피부가 불룩해진 쥐에게 유자 껍질 추출물을 먹이자 시간이 지날수록 암세포의 성장이 느려질 뿐 아니라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효과도 있었다. 이 효과 역시 유자 껍질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 ...
이전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