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지네를 닮은 로봇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문제를 연구하는 데 이 연구
결과
가 실마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
는 지난 7월 22일 사이언티픽리포트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 ...
[수학뉴스] 한 살 공간 감각, 여든 간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그리고 4년 뒤 실험에 참가했던 아이 중 53명을 대상으로 수학 문제를 풀게 했습니다.그
결과
첫 실험에서 화면을 오랫동안 봤던 아이가 수학 문제를 풀 때 더 강한 자신감을 보였습니다.로렌코 박사는 “오랜 시간에 걸쳐 진행한 이 실험으로 공간 추론 능력과 수학 실력의 상관관계를 알 수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짧으면 몇 주, 길면 몇 달에 걸쳐서 교사와 교수의 도움을 받아 풀 수 있는 문제다.
결과
가 좋으면 수학자처럼 논문을 낼 수 있다. 크라우드 매스에 실린 문제 역시 논문 출간이 가능하다. 벌써 문제를 해결하고 논문을 쓴 고등학생도 있다.논문까지 낼 수 있는 만큼 문제의 난이도는 매우 높다. ... ...
[특별 이벤트] 수학자를 이겨라!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따르면, 어려웠던 5가지 암호 중 3가지 암호를 푸는 데 성공한 쪽이 승리하게 돼요.
결과
는…. 두구두구두구두구…. 3:2! 수학동아 독자들의 승리로 돌아갔습니다.김종락 교수는 “무엇인지 전혀 모르고 방에 갇혔기 때문에 더 스릴 넘치는 대결이었다”며, “같이 했던 두 학생이 당황하지 않고 힘이 ... ...
[과학뉴스] 30년 핵융합 난제, 한국 연구진이 풀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세계 핵융합 학계가 30년간 풀지 못했던 난제에 대해 국내 과학자들이 새로운 해석을 내놨다. 박현거 UNIST 자연과학부 교수와 윤건수 포스텍 첨단원 ... 상호작용하면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
는 ‘피지컬 리뷰 레터’ 8월 12일자에 게재됐다 ... ...
[과학뉴스] 대마초 피우면 돈 벌 의지 사라져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대마초를 피울 때 나타나는 각성 효과가 일을 해서 돈을 벌겠다는 의지를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
가 나왔다.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팀 ... 것은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실험을 통해 증명된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
는 ‘정신약리학’ 저널 9월 2일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책을 펼치지 않고도 읽는 ‘독책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연구팀은 이 신호를 수신한 뒤 알파벳으로 변환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실험
결과
20페이지 중에서 9페이지에 적힌 문자를 식별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오래된 서적들을 분석하고 보존할 때 이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헤쉬멧 연구원은 “보관 중인 고서적에 손을 대지 ... ...
[과학뉴스] 하마 이빨에서 아프리카 초원의 미래를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게 된다. 연구팀은 하마의 수가 줄면서 C3 식물이 늘어났고 그
결과
아프리카 초원에서 C4 식물이 자라는 면적도 줄었다고 분석했다.난지형목초는 동물들의 생활 터전이자 이동 통로로 초원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크리츠 연구원은 “한때 다양한 풀로 덮였던 지역이 ... ...
[과학뉴스] 사람은 초기 인류보다 뇌 혈류량 6배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인류가 뇌의 크기보다 혈류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연구
결과
가 발표됐다.호주 아델레이드대 로저 세이머 교수팀은 초기 인류에 비해 현생인류의 뇌 혈류량이 6 ... 교수는 “인류가 진화하면서 뇌가 커진 덕분에 지능이 발달했다는 기존 학설을 뒤집는 연구
결과
”라고 밝혔다 ... ...
[과학뉴스] 로제타가 포착한 필레의 최후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수 없었다.ESA는 임무 종료를 앞둔 로제타호를 혜성 표면에 약 2.7km까지 접근시켜 촬영한
결과
필레를 찾아낼 수 있었다. 바위 그림자 끝부분에서 조금이라도 태양빛을 쬐기 위해 몸부림치다 멈춘 것처럼 보였다. 67P 혜성이 태양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로제타호는 9월 30일 필레와 함께 혜성에 묻혔다 ... ...
이전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