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엔지니어 푸대접은 이제 옛말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경영에는 별 지장이 없었으나 이제는 경영이 조직적이며 세밀하고 1대1로 맞서 이
길
수 있는 전문능력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엔지니어출신들이 오히려 기업경영자로서 적합한 경우도 많다고 덧붙인다.엔지니어 출신들이 상당히 우대를 받는 풍토는 어떤 의미에서건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 ...
산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접근이 대단히 어렵다. 천지도 예외는 아니어서 천지 바닥으로 내려가는
길
은 두
길
밖에 없으며 그 하나는 폭포가 흐르는 중국쪽이요 다른 하나는 국경정계비가 세워져 있는 한국쪽에 있다. 천지 칼데라호는 함몰성이기 때문에 수심이 대단히 깊으며 가장 깊은 데는 약 3백75m나 된다. 호수면의 ... ...
죽음의 사자를 피하는 최신의 무기들-분자치료법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말하고 있다. '캐롤 버거'라는 사람은 "혈액내에서 손상된 세포의 제거는 우연히 생
길
수있는 악성 T-임파구에 대한 저항을 일으키고 새로운 악성 T-임파구의 재생을 둔화시킨다"고 설명했다. 치료를 받은 환자는 모두11명. 이 가운데 8명이 좋은 반응을 나타냈으며 2명은 더이상 치료를 안받아도 될 ... ...
20세기의 위험 평범한 사고가 무섭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지식을 갖고 있다 민중은 우매하고 과학자는 믿을것이 못된다고 할때 그럼 위험을 피할
길
은 도저히 없단 말인가?최대의 과제는 우리 보통사람들이 비록 부족한 지식과 비논리적태도를 갖고 있다해도 위험과 사회전체의 관련에관한 어떤 생각 즉 지혜라는것을 갖고 있다는점이 정책결정(위험방지를 ... ...
피로회복제의 허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피로회복 방법이다. 충분한 수면과 휴양, 영양섭취를 하면서 쉬는것이 피료회복의 지름
길
인 셈이다. 피로회복을 위해 드링크류를 마셔대는 것은 앞서 살펴본대로 별 효과도 없고 오히려 부작용만 우려된다. '영양'의 측면에서만 따져본다면 '약'보다는 '자연식'이 효과적이다. 자연의 곡류에는 ... ...
대덕연구단지 첨단 과학기술의 메카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하고는 있으나 눈높은(?) 연구원들에게는 아무래도 미진하기 마련이다. 연구원들의 발
길
을 막는 이같은 불편한 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각종 편의시설을 갖춘 종합복지관이 금년 4월경에 완공될 예정이고,90년까지 국민학교·중학교 각1개교씩 증설한 계획인데 과연 얼마나 효과가 있을는지 관심을 ... ...
고엽제(枯葉劑)살포, 그이후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임기를 마치고 귀국한 필자는 미처 쉴 사이도 없이 남태평양의 2차대전 전적지 순회취재
길
에 올랐었다. '파푸아 뉴기니'동북쪽에 위치한 '비스마르크'제도의 그 유명한 '라바울', '마누스'섬의 야자나무숲은 그야말로 장관이었다. 뜨거운 태양이 작열하는 적도상의 섬들인데도 유난히 넙적한 ... ...
강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유역면적에 있어서 우리나라에서 3번째이고 남한에서 가장 긴 강이디. 낙동강은 본류의
길
이 5백 25㎞, 유역면적 2만3천8백59㎢로 남한면적의 4분의 1에 해당된다. 강원도 함백산 및 태백산에서 발원하여 고생대 석회암중의 천년교하를 흐르고, 경상북도에 이르러 'ㄷ'자 모양으로 유로를 취하며 ... ...
유치된 해외 과학 두뇌 제 몫을 하고 있나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4~5년간은 고급두뇌가 계속 유치되어야 합니다. 그것이 효율도 높고 후배도 양성하는
길
입니다. 그렇게 되면 우리도 선진국과 당당히 경쟁할 힘을 갖추게 된다"고 30대 후반의 설계담당이사는 자신있게 예측한다 ... ...
열강의 각축장 남극대륙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강한 크릴이 많이 있고 지하 자원도 풍부하기 때문이다. 1960년대 후반에 발견된 크릴은
길
이 5cm정도의 갑각류로 새우와 비슷하게 생겼다. 바다 표면 가까이에 떼지어 있기 때문에 한번 그물을 올릴때 몇t씩이고 잡을 수 있다. 최근 어군 탐지기 조사로 크릴 자원량은 6억5천만t이나 된다고 추정되고 ... ...
이전
521
522
523
524
525
5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