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에서 축구공은 반대로 휜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길면, 공이 진행하는 앞
부분
에 뒷
부분
보다 더 많은 분자가 충돌한다. 이때 공의 앞
부분
에서는 분자가 공의 회전방향으로 튀어나간다. 그러면 공은 분자가 튀어나간 방향과 반대로 힘을 받는다. 바로 지구에서 휘는 방향과 반대가 되는 것이다. 지구와 화성의 중간쯤 되는 공기 밀도에서는 분자의 ... ...
비만: 세계적인 주요 건강 문제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기술하기 위한 물리학일상생활에서는 전하(대
부분
의 경우 전자)가 지나가는 대
부분
의 통로는 3차원이다(예: 전자제품속의 구리선) 이러한 3차원의 전도체를 한쪽 방향으로 납작하게 만든다면 전자의 운동은 2차원으로 구속될 것이다 이처럼 전자의 운동이 2차원에 구속된 구조를 양자우물이라고 ... ...
컬럼비아호 참사의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열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컬럼비아호는 열을 흡수할 수 없는 상황에 처했고, 왼쪽 날개
부분
에 열이 과도하게 집중되면서 결국 폭발하지 않았느냐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채연석 원장은 “우주왕복선 개발과정에서 내열타일이 가장 취약한 분야”라고 설명한다. ... ...
미아위성 구출한 우주유영장비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사고의 유력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왼쪽날개의 손상부위가 있는 우주왕복선의 아랫
부분
까지 이동해 사고의 심각성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을 것이고, 최악의 우주사고를 막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챌린저호의 사고로 비행의 날개를 접은 MMU가 이번 컬럼비아호의 사고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 ...
로또 당첨 소행성 지구 충돌보다 어렵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8월 사이에 소행성이 대기권 상층에서 폭발하면서 생긴 섬광이 3백회 가까이 밝혀졌다. 대
부분
은 TNT 1t의 폭발력에 미치지 못하는 1-10m 크기의 소행성이었고, 관측된 소행성 가운데 가장 폭발력이 컸던 것은 2002년 6월 6일 지중해 상공에서 발생한 것으로 TNT 25kt의 위력(히로시마 원폭의 2배 이상)에 ... ...
1. 원자세계 조작하는 21세기 연금술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우리가 가공중에 취급하는 물체의 크기는 두께가 수mm, 길이가 수m다. 일상생활의 대
부분
도구나 구조물은 매크로 영역인 것이다.또다른 이유는 나노 영역에서의 독특한 물성이 매크로 영역으로 물질을 합쳐가는 과정에서 소멸·감쇠되기 때문이다. 나노 크기의 금속이나 세라믹 분말이 독특한 ... ...
장거리 여행객 위협하는 이코노미클래스 신드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복부비만은 피하지방이나 내장지방에 의한 것이다 피하지방은 말 그대로 피부 아랫
부분
에 모인 지방이고 내장지방은 내장에 지방이 달라붙어있는 것이다 대개 여성들의 똥배는 피하지방에 의한 경우가 많고 남성은 내장지방에 의한 똥배가 많다1kg의 연료가 1kg의 추력을 계속 낼 수 있는 시간을 ... ...
키스할 때나 누드일 때나 조각상은 우파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및 르네상스기에 이를 복제한 조각상 1백7개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고대 조각가들은 대
부분
오른쪽 음낭을 왼쪽보다 ‘높게’ 만든 점에서는 해부학 연구와 일치했지만, 왼쪽 음낭을 ‘크게’ 만든 점에서 사실과 달랐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을 보면 이 점을 ... ...
한국의 아리스토텔레스 정약전의 해양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이
부분
을 흔히 오징어의 눈이라 부르지만 사실 이것은 눈이 아니라 이빨이다. 이
부분
을 잘 살펴보면 꼭 새의 부리처럼 생겼다. 이것이 바로 오징어와 새를 연결짓는 고리다. 오징어를 잡아보니 몸 속에 새의 부리 같은 것이 들어 있다. 오징어가 새를 잡아먹은 것이 틀림없다. 오징어는 먹물을 품고 ... ...
기초연구에서 제품개발까지 산학연의 지휘자 서상희 단장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것으로 예상되는 탄소나노튜브와 같은 고분자소재의 활용 연구가 나노소재의 상당한
부분
을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서 단장은 이와는 좀 다른 생각을 하고 있다.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단은 10년 뒤 우리나라가 세계 정상급 기술을 갖고 시장에 내놓을 수 있는 제품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를 ... ...
이전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