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한국으로서는 어떤 임무가 (성공) 가능성이 있는지 판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일단 시작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더그 헤밍웨이 교수도 “달 탐사와 연구에 대한 한국의 열정과 긍정적인 태도에 감동받았다”며 “한국의 달 탐사를 통해 내가 세운 이론을 실험할 수 있게 되면 ... ...
- "SCV good to go, Sir"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무인 로봇을 이용하는 것이다. 특히 로봇채굴대회는 무선조종을 일부 허용한다. 채굴을 시작할 정도면 로봇을 조종할 사람들은 외계행성에 이미 도착했다고 보기 때문. 하지만 탐사가 주 목적인 샘플채취로봇시합은 대부분의 과정을 자율주행에 맡겨야 한다.채굴로봇의 형태도 지구의 건설장비와는 ... ...
- 양자를 훔친 악동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코펜하겐 해석이 완성됐다.양자역학의 시작은 플랑크? 하이젠베르크?양자혁명이 언제 시작됐냐고 물으면 보통 막스 플랑크(1918년 노벨물리학상)의 흑체복사이론부터라고 한다. 플랑크는 ‘빛이 입자일 수도 있다’는 이론을 1900년 10월 독일물리학회에서 처음 발표했다. 이 때문에 베를린대는 200 ... ...
- PART 3. 서해에도 쓰나미가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무너지며 해안가를 덮친다. 초기속도 보다야 느려지지만 시속 700km가 넘는 물이 밀려들기 시작한다. 이 때문에 쓰나미 주의보는 근처에서 지진이 발생하면 일단 발령한다. 쓰나미가 오는 것을 깨달았을 때는 이미 늦기 때문이다. 『지진이 발생하면 규모에 따라 일단 쓰나미 주의보를발령한다. ... ...
- 십자매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white-crowned sparrow)라는 새를 이용한 실험을 보자. 흰관참새의 노래는 휘파람(휘슬)소리로 시작되며 세 부분으로 이뤄져 있다. 그런데 아빠 새를 떼어낸 채 키우는 실험을 해보면, 이 개체의 노래도 (비록 음 자체는 불안정하지만) 세 부분으로 돼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노래를 거꾸로 배열해서 ...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우렁찬 진동과 소음이 들리고 나면 엔진이 꺼질 것이다. 그리고 6개월간의 긴 항해가 시작될 것이다. 지구로 향하는 항해 말이다…. 문득, 멀리 보이는 큰 동전 크기의 지구가 낯설게 느껴졌다. 우리 뒤에 펼쳐진 붉은 보름달과 같은 화성이, 지금 이 순간은 오히려 정겹게 느껴진다 ...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가장 좋아하는 과목이 뭐예요?내가 어떤 과목을 좋아하는지 한 번 맞혀 보세요! 그럼, 시작할까요?수학을 좋아하나요?저는 수학보다는 컴퓨터게임 하는 것을 좋아해요.그렇다면 책을 읽는 건요?제가 좋아하는 책 중 하나는 라는 책이에요. 소련을 만든 레닌에 대한 실화를 ...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증명했다. 차츰 ‘직접교차분화가 iPS를 대체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이 생기기 시작했다. 더구나 iPS와 달리 직접교차분화로 만든 세포에서 테라토마가 생기지 않는다는 사실이 여러 편의 논문으로 검증되고 있었다. 세포의 운명을 성공적으로 전환했다는 연구결과도 곳곳에서 쏟아져 ... ...
- 빛으로 물질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가장 단순한 형태로 빛과 빛을 충돌 시켜서 물질을 만든 사건이 될 것이다.우주가 처음 시작할 때는 빛과 물질을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했다. 이제 우리는 빛과 물질 사이의 경계를 조심스럽게 탐색 하고 있다. 빛은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존재면서, 여전히 가장 신비로운 존재고 세상의 비밀 속으로 ... ...
- [knowledge] 시화호 조력발전소, 환경과 문화까지 살리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전인 2011년 7월까지 월 평균 바닷물 유입량은 3억2163만m3이었다. 하지만 시험 가동이 시작된 2011년 8월부터는 2.5배가 넘는 평균 8억9367m3으로 늘더니, 본격적으로 가동된 2012년 이후로는 38억5988만m3으로 훌쩍 늘었다. 하루 평균 1억4700만m3 수준으로, 시화호 전체 물의 절반에 해당한다. 과거에는 한달 ... ...
이전5215225235245255265275285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