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 하늘에 풍선 띄워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에너지를
알
아낸다면 이 입자의 기원과 이처럼 엄청난 에너지를 갖게 된 이유에 대해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남극 하늘 맴도는 풍선 띄운다우리가 남극까지 온 것은 풍선을 최대한 하늘에 오래 머물게 하기 위해서다. 우리가 찾는 우주입자는 지구 위 1m2의 넓이 위에 1년에 한 개 정도 떨어질 ... ...
우리나라는 밤하늘 어디쯤 있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위도는 물론 동일하게 34°에서 43°다. 밤하늘에서 찾아보면 매우 좁은 영역임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가 좁다는 것이 하늘에서도 확연히 느껴진다. 우리나라 면적은 구경 30mm의 소형 쌍안경에서 한 시야에 고스란히 들어온다. 저 넓은 밤하늘에서 고작 한뼘도 안되는 영역이라니!우리나라가 속하는 ... ...
로터리 엔진 vs 피스톤 엔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엔진에서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이 사라졌다. 회전한다는 뜻의 ‘rotary’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로터리 엔진은 연료와 공기가 섞여 연소가 일어나는 부분에 위치한 로터면에 열에너지의 팽창력이 전달되면서 로터가 왕복하는 대신 회전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피스톤의 왕복 운동이 필요 없었기 ... ...
손목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이유 - 손목뼈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작은마름뼈,
알
머리뼈, 갈고리뼈다. 이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손배뼈는 배(ship), 콩
알
뼈는 콩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의대 학생들은 8개 손목뼈의 영문 이름까지 모두 외워야 하기 때문에 영문의 앞 철자를 따 친숙한 문구(파트라슈 호시탐탐, 포톤러쉬 호시탐탐)를 만들어 외우기도 한다 ... ...
성냥개비 기하학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일이 불가능 하다. 대신 그 생각을 입체 도형에 적용해 보면 답이 정사면체라는 것을
알
수 있다.이제부터 어려운 성냥개비 문제에 맞닥뜨릴 때에는 무작정 성냥개비를 움직이기 전에 그 개수부터 세어 보는 여유를 가지시길.지 난 달 정 답[ (80+$\frac{1}{5}$)×25 = 2005. 진분수라는 조건이 없다면 (80+$\frac ... ...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눈 · 소화기 등에서 볼 수 있는 아데노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일어나는 질환의 총칭 현재
알
려진 33가지 형의 아데노바이러스 중 약 2/3에서 병원성이 인정되고 있으며 동일한 질환을 여러 형의 아데노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예도 있고 반대로 한 형의 아데노바이러스가 여러 종류의 질환을 일으키기도 ... ...
새해에는 닭처럼 일찍 일어나 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수탉이‘꼬끼오~’하고 울면서 잠을 깨워 주지요. 수탉은 왜 이렇게 일찍 일어나 아침을
알
려 주는 걸까요? 닭의 조상은 동남아시아에 사는‘적색야계’인데요. 이 새는 해가 뜨기 전에 우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고 해요. 이러한 습성이 사람에게 길러지면서도 없어지지 않아서 그렇답니다.수탉들의 ... ...
소녀를 사랑한 청둥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되어버립니다.샛별! 따라오지 마채원이가 학교에 갔다 집으로 돌아오는 시간을 정확히
알
고 있는 오리짱은 그 시간이 되면 어김없이 대문 앞에서 채원이를 기다립니다. 채원이가 잘 때까지 오로지 채원이 뒤만 졸졸 쫓아다니고 무거운 몸을 채원이 무릎에 맡기고 잠도 잡니다. 질투의 화신으로 ... ...
6. 평범함이 비범의 열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속도로 흐르는 것이라고 간주했는데, 대체 두 좌표계에서 시간이 같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어느 한 좌표계에서 ‘동시’라고 말할 수 있는 사건이 다른 좌표계에서는 ‘동시’가 되지 않는다면?이처럼 아인슈타인은 시계를 통해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던 시간이라는 추상적 개념에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또 서로의 게놈을 비교해보면 진화의 과정에서 각각 어떤 유전자를 얻었고 잃었는지를
알
게 돼 그 기능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한편 적색들닭 외에 현재 사육되는 3가지 품종의 게놈 일부도 해독됐다. 야생동물이 가축화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게놈 상의 변화를 추적해보는 최초의 ... ...
이전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