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콜릿 복근을 원하는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잠깐 쉰다 하더라도 살이 덜 찌고 근육을 다시 만들기 쉽다. 임종필 교수는 “최소 3개월
이상
은 운동에 전념해야 복근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복근을 덮고 있는 지방도 걷어내야 한다. 복근이 드러나려면 체지방률을 10% 이하로 낮춰야 하는데 뱃살은 움직임이 거의 없는 부분이라 지방이 잘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인텔 연구진의 실험 결과 3D 트랜지스터의 임계전압은 평면형 트랜지스터에 비해 약 30%
이상
줄어들었다. 이종호 서울대 전기·정보 공학부 교수는 “3D 반도체는 누설전류가 줄어들고 스위칭 속도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게 가장 큰 장점”이라고 설명했다.이런 특징이 가져다 주는 이점은 ... ...
[시사] 돌아온 백설공주 수학을 알았더라면?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이동해야 한다는 이야기다.왜 난쟁이는 7명일까?동화 대 영화우선 직업이 다르다. 더
이상
순수하지도 않다. 왜? 그들도 먹고 살아야 하니까. 생김새도 완전히 다르다. 귀여운 구석이라곤 찾아보기 힘들고, 말 걸기조차 어렵다. 하지만 역시 어여쁜 백설공주를 매몰차게 거절할 만큼 모질지는 못하다 ... ...
코페르니쿠스의 원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허블은 우리은하 밖에 수많은 다른 은하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지구는 더
이상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 지구와 다른 일곱 행성의 호위를 받는 우리동네 ‘짱’인 태양은 우리은하 지도의 끝자락에 있는 지극히 평범한 별이다. 태양을 비롯해 1000억 개의 별과 그보다 훨씬 많은 행성을 거느리고 있는 ... ...
차가운 빛의 세계, 발광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온도가 대략 1000K 보다 낮으면, 물체는 파장이 긴 적외선을 내놓는다. 온도가 그
이상
높아지면 복사선의 파장은 더 짧아져 가시광선을 방출한다. 이때 비로소 우리는 물체에서 나오는 ‘빛’을 볼 수 있다. 나오는 빛의 색이나 파장을 측정해 물체의 온도를 알아 낼 수도 있다. 이를 이용해 몇 ... ...
전하고 싶은 사실과 메시지를 분명히 하자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드디어 정기자 선발 임박! 드디어 정기자를 뽑습니다. 궁금증만 무성했던 정기자 선발이 임박했습니다. 수습기자로서 열심히 기사를 올리는 청 ... 동아리는 담당 선생님 없이 친구랑 저 둘이 해도 되나요? 동아리로 지원을 하시려면 최소한 6명
이상
의 친구들과 담당 선생님이 필요합니다 ... ...
Part1. 당신의 장유형은 무엇입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40대
이상
44명과 장수촌인 충북 영동군 토항마을과 강원 춘천시 박사마을에 사는 40대
이상
25명의 분변을 얻어 장내미생물의 분포를 분석했다. 그 결과 놀랍게도 장수촌에 사는 사람들이 도시인들에 비해 몸에 좋은 유산균이 3~5배나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즉 유산간균이 차지하는 비율은 ... ...
해외탐사Big3 - '과학특별시민'을 모집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로열티 아일랜드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곳은 아름다운 자연의 가치를 인정받아 섬의 60%
이상
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됐다. 아름다운 푸른 바다에는 거대한 산호초와 애니메이션 의 주인공인 흰동가리를 비롯한 알록달록한 물고기들이 가득하다. 하늘에서 살펴본 맹그로브 습지는 하트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1000조W)에 이른다. 미국에서 192개 레이저로 만든 순간최대 출력인 441테라와트보다 2배
이상
더 강하다. 하지만 펨토초 레이저를 연료 캡슐에 그대로 발사할 수는 없다. 레이저가 연료캡슐을 압축하는데 오히려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왜 그럴까. 펨토초 레이저는 출력이 매우 높은 만큼 강력한 ... ...
‘별의 단발마’ 항성풍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항성 대기에서 생긴 먼지가 빛에 실려 멀리 날아가는 현상으로 태양풍의 1억 배
이상
강하다. 약 1만 년 동안 지속되는데, 그 사이에 별 전체 질량의 절반이 날아가 별은 작은 조각만 남는다. 태양도 약 50억 년 뒤에는 이런 운명에 들 예정이다.그 동안 천문학자들은 강한 항성풍의 과정을 밝히기 위해 ... ...
이전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