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탄생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했을지 모른다. 곡률★ 곡선이나 곡면이 휜 정도를 표현하는 변화율.미니 인터뷰우주의 비밀에 도전하는 수학자 조용승 이화여대 수학과 교수교수님, 우주의 비밀을 밝히셨다면서요?!저는 2011년 홍순태 교수와 함께, 빅뱅이론에 끈 이론과 아인슈타인의 장 방정식을 ... ...
- [교과연계수업] 가상화폐, 비트코인이 알고 싶다고?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세겔’이라는 무게 단위까지 만들어 사용했다. 1세겔은 보리 180알의 무게로, 약 11그램 정도다. 당시 세겔은 무게와 화폐 단위를 동시에 나타내는 기준으로 사용되었는데, 오늘날에는 영국의 파운드화가 그 전통을 이어받아 무게와 화폐 단위를 동시에 나타내고 있다. 이후 암석으로부터 금속을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것을 목표로 한다. 정확히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근거한 중력이론이 태양계 정도의 작은 크기에서는 잘 맞지만, 수많은 은하가 모인 은하단 이상의 거대 규모에는 잘 안 맞기 때문에 수정해야 한다는 것이다.수정중력을 설명하기 위해 새로운 5차원을 도입해 중력이 다른 차원으로 ... ...
- 과학동아 천문대 개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시험삼아 촬영해 봤는데, 색깔이 제대로 나오더군요. 유명한 성단도 별을 구분할 정도로 잘 나왔습니다.앞으로 천문대를 어떻게 운영하실 생각인가요?일단 특별 이벤트를 많이 할 계획입니다. 12월에 아이손 혜성 관측 행사도 다시 열고, 1월에는 아이손 혜성 부스러기가 만드는 별똥별 쇼도 관측할 ... ...
- 러시아 운석우의 재구성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궤적 양쪽으로 90km에 이르는 막대한 면적에서 7000여 채의 건물들이 파손됐다. 피해 정도를 알기 위해 연구팀이 조사한 1674명 중 107명(6.4%)이 충격파 때문에 뇌진탕을 앓았다. 또 80명(4.8%)이 충격파 때문에 깨진 유리창 때문에 자상을 입었다고 전했다.유성체가 지상에 닿기 전에 공중폭발한 까닭은 ... ...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부족한 기면증 환자는 폭식을 하는 경향이 있다. 정상인보다 과체중이 될 위험이 두 배 정도 높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갑자기 심각하게 졸린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면 빨리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발병한 지 수 년이 지나 확진을 받을 때면 세포체가 모두 죽었을 가능성이 높아 더 이상 면역치료는 ... ...
- 깨볶는 과학 마지막회 우유+여드름균=맛있는 치즈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시간이 지나자 우유가 순두부처럼 몽글몽글 엉기기 시작해요. 맑은 액체가 드러날 정도로 덩어리가 모이면 체에 면포를 얹어 덩어리(커드)만 걸러요. 이것이 바로 코티지치즈예요. 만들자마자 바로 먹어도 되지만 냉장고에 10시간 이상 두어 좀 더 단단하게 해 먹으면 더욱 맛이 있어요.커드를 ... ...
- 바보야, 문제는 두려움이야!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뇌는 특정 부위에 이상이 생겨도 우회로가 생겨 잃어버린 신체 기능이나 뇌 기능을 어느 정도 되찾을 수 있다. 또 시각 장애인의 경우 청각을 담당하는 뇌피질이 더 발달하는 등 잃어버린 기능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도 있어, 많은 뇌과학자와 의사들이 관심을 쏟고 있다.그런데 심리학자인 일레인 ... ...
- PART1 김치를 만들고 나누는 문화 김장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멸치젓을 아주 국그릇으로 퍼넣더라. 우리 집 김장이 훨씬 맛있지?” 일주일에서 열흘 정도 반복되는 아파트 김장 품앗이는 아랫집 노랑이네를 마지막으로 끝났다. 지금이야 김치냉장고가 있어서 비교적 간략하게(?) 끝났지만, 땅을 파서 김장독을 묻어야 했던 옛날은 아버지까지 동원되는 거대한 ... ...
- 포경수술 좋다 vs 나쁘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어쩌면 이렇게 계속 논란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포경수술을 해서 딱히 크게 체감할 정도로 얻을 것도 잃을 것도 없기 때문이 아닐까. 그렇다면 굳이 해야 한다고, 하지 말아야 한다고 핏대 올려서 싸울 필요가 없다. 각자 취향(?)에 맞게 선택하면 될 일이다 ... ...
이전5215225235245255265275285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