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뉴스
"
논문
"(으)로 총 6,463건 검색되었습니다.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
과학동아
l
2017.01.08
사회, 경제적인 맥락을 해석해 한국물리학회지 2015년 11월호에 발표했다(2015년 통계는
논문
에 포함하지 못했고 이 기사를 위해 추가로 분석했다). 과학동아 제공 ● ‘토박이’ 안동 권씨와 ‘전국구’ 밀양 박씨 우선 필자의 관심사인 안동 권씨의 전국적인 분포를 살펴봤다. 행정구역별 인구 중 ... ...
“우리도 일본처럼 면역·줄기세포 규제 풀자” vs “위험천만한 소리”
동아사이언스
l
2017.01.08
20년째 줄기세포를 연구하고 있는 한 연구자는 말했다. “2005년 황우석 교수의
논문
조작 사건 여파로 한국 줄기세포 연구가 10년간 피해를 입었습니다. 저도 줄기세포를 연구하고 있지만 아직 치료에 사용할 만큼 안전하지 않습니다. 만약 치료하다 사고라도 나면 국민여론이 어떻게 되겠습니까. ... ...
서열 낮으면 면역력도 낮아진다
과학동아
l
2017.01.08
낮은 암컷의 세포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유전자가 과도하게 발현하는 것을 확인했다.
논문
의 공동 저자인 캐나다 몬트리올대 면역유전체학과 루이스 바레이로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사회적 위치가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빈곤층과 노동자 계층의 사람들이 심장병이나 ... ...
어디 사니? 날개 보면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7.01.07
그 대신 나무 사이를 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날개가 점점 짧고 둥근 모양으로 변했다.
논문
의 제1저자인 조나단 케네디 박사후연구원은 “날개가 특별히 진화하지 않는 한 새들은 장거리 여행을 하지 않는다”며 “이번에 제작한 지도를 통해 인류는 새의 날개 모양과 지구상 분포 사이의 관계를 ... ...
“연구자 중심의 과학기술 혁신 이끌 것”...올해 과학기술 분야 정책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연구팀’도 신설된다. 1년간 400개 팀에 총 50억 원을 지원한다. 최 장관은 “이론이나
논문
에 국한됐던 대학의 연구 환경을 기업과 연계해 외연을 확장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미래부는 이번 정권을 넘어서는 장기 연구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
뇌는 성장하지 않는다?…일부 뇌 조직 증식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부위에는 변화가 없었다. 연구진은 사체 해부를 통해서도 동일한 사실을 재차 확인했다.
논문
의 제1저자인 제시 고메즈 스탠퍼드대 박사과정 연구원은 “적어도 안면 인식을 담당하는 뇌 부위에 한해서는 뉴런의 수와 조직의 양이 증가한 사실이 확인된 셈”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 같은 뇌 ... ...
개를 키우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절대 기쁨’ 몇 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반려동물과 함께 할 때 생기는 이점이 많이 나옵니다. 2001년에는 이 이점에 대한 실험이
논문
으로 발표되기도 했습니다. 미국 뉴욕주립대에서 한 실험인데, 결혼을 하지 않은 펀드매니저 4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험입니다. 펀드매니저는 스트레스가 매우 높은 직업이고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은 ... ...
인류가 만든 ‘문명’, 30조t에 달해
과학동아
l
2017.01.05
얻었다. 이는 테크노스피어가 지표면 1m2당 50kg의 질량을 차지하고 있다는 뜻이다.
논문
의 공동 저자인 영국 레스터대 지질학과 마크 윌리엄스 교수는 “테크노스피어가 지구의 새롭고 중요한 현상임을 보여준다”며 “인간이 지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연구할 수 있는 척도가 될 것”이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
2017.01.04
시차로 생체시계가 교란된 생활을 지속하면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특집에 실린 리뷰
논문
들에 따르면 다양한 문제들이 생기고 이는 오늘날 만연한 질병들로 나타난다. 먼저 인체생리에 미치는 영향을 보자. 예를 들어 비만이나 당뇨는 단순히 칼로리나 당분의 과잉섭취가 원인이 아니라는 증거가 ... ...
한국 기초과학 이끌 독일인 과학자 2人
동아사이언스
l
2017.01.04
STM·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분야 최고 권위자로 꼽힌다. ‘사이언스’에만 9편의
논문
을 게재한 바 있다. 김두철 IBS원장은 “두 단장은 독창적 연구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해 온 최고 수준의 과학자”라며 “IBS가 새로운 지식의 영역을 개척하고 전 지구적 이슈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 ...
이전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