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662건 검색되었습니다.
도마뱀 조직재생 능력, 포유류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11.28
재생의학 기술 개발의 가능성을 탐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지난달 28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 ...
코로나 파괴 인공효소 만드는 '합성생물학' 혁신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22.11.28
없는 약한 면역체계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치료제로 활용할 수 있다"며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지난 16일 공개했다. 차세대 항바이러스 약물로 활용이 기대되는 이 효소는 생명과학에 공학 기술을 적용해 생명체의 구성 요소나 시스템을 설계, 제작해 새로운 ... ...
문어가 똑똑한 이유…"인간 뇌 발달과 공통점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11.27
척추동물과 유사한 발달 과정을 거쳐 복잡한 뇌 기능을 발달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1월 25일자에 발표했다. 문어와 오징어, 갑오징어 같은 두족류는 다른 연체동물과 달리 복잡한 신경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문어는 팔을 이용해 조개껍데기를 까거나 사물을 ... ...
[의과학용어의 조건]⑫ 트라우마→감정상처...전문가 선정 바꿔야할 과학·의학 용어
2022.11.27
다른 선인 '한선(Sweat gland)' 등은 어려운 한자어로 인식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
학술
이사는 "'선'을 모두 '샘'으로 변경하는 것에 대한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며 "이런 과정을 거쳐 한자어 용어를 순우리말 용어로 변경해가는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좋은 예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의협 ... ...
[표지로 읽는 과학] 무한한 잠재력 지닌 세포공학
동아사이언스
l
2022.11.27
제공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25일 여러 개의 손과 세포를 묘사한 이미지를 표지로 실었다. 표지 하단에는 ‘세포 공학(Cell Engineering)’이란 문구가 크게 달려있다. 이번 주 사이언스는 세포공학을 “강력하고 큰 잠재력을 가진 기술”이라 소개하며 특별호를 발간했다. 세포공학은 생물의 세포나 ... ...
[표지로 읽는 과학] '절전모드'로 뇌 과부하 막는 효소
동아사이언스
l
2022.11.26
운집해 있다. 여러 가지 색깔의 브로콜리가 촘촘히 심겨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이번 주 표지로 포유류 동물 뇌 속에 있는 신경세포(뉴런) 덩어리를 표현한 이미지를 실었다. 신경계의 단위인 뉴런은 감각 기관과 뇌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정보를 ... ...
기생충이 ‘우두머리 늑대’ 자질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26
않은 늑대보다 무리를 이끌 가능성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를 24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커뮤니케이션스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숙주의 성격을 변화시키는 ‘톡소플라스마원충’이란 기생충에 주목했다. 이 기생충에 감염된 숙주는 근육과 뇌 조직에 낭종이 형성되며 무모하거나 ... ...
건강 위해 마시는 하루 8잔의 물 "너무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25
한다는 것이다. 야마다 요스케 일본 교토고등과학대 교수 연구팀은 24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3개국 8~96세 남녀 5604명을 대상으로 물의 섭취량과 손실량을 평가했다. 물의 순환율(WT)을 파악하고 체내 수소에 대한 동위원소 추적이 ... ...
[일상 속 뇌과학] 뇌가 실수와 오류를 제거하는 법
2022.11.25
있다가 학습 후 특정 패턴으로 재배열 된다고 한다. Nature Communications 제공 2017년에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10.1038/s41467-017-01914-5)에 발표된 바에 따르면 노래 학습에 관여하는 운동피질 내 억제성 신경회로가 학습 전에는 무작위적으로 배열되어 있다가 학습 후 특정 패턴으로 ... ...
김정원 KAIST 교수, 美 광학회 석학회원 선출
동아사이언스
l
2022.11.25
최대 학회인 `레이저 및 전자광학 국제
학술
회의 광계측 분과 프로그램 위원, 한국광학회
학술
이사도 역임 중이다. 김 교수는 “광학 분야 발전을 위한 연구와 봉사분야에서 더욱 열심히 활동하겠다”고 밝혔다. 1916년 설립된 미국광학회는 광학 분야 세계 최대 규모와 권위를 가진 학회다. 현재 1 ... ...
이전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