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에 붙는 RNA의 서열을 바꾸면 원하는 유전자를 잘라낼 수 있다. doi:10.1126/science.1225829 2017년에는 김진수 단장이 이끄는 연구팀이 크리스퍼로 심장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배아에서 정확히 잘라내는 데 성공했다. doi:10.1038/nature2403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금수저’ 색안경 벗겨낸 노력파 세르게이 볼코프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기다리는 후배들에게 기회를 더 주고 싶기도 했다”고 말했다. 보통 첫 비행까지 10~15년을 기다리는데, 그 시간이 얼마나 힘든지 잘 알기에 내린 결정이었다. 그런 그에게 비현실적인 줄은 알지만 농담처럼 물었다. 다시 우주 비행을 할 수 있다면 나랑 같이 갈 생각이 있느냐고. 그리고 내가 ...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모든 데이터에는 숨겨진 ‘성격’이 있습니다. 가령 특정한 의료 데이터를 추출해서 분석하면 일정한 경향이 보입니다. 이는 천문학, 물리학 등 자연과 ... 배워서 오는 친구들이 많기는 하지만, 컴퓨터에 관심만 있다면 대학에 입학한 뒤 1학년 때 충분히 따라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아이디어와 풀이를 올려 수학 문제를 힘을 합쳐 푸는 수학 공동 연구 프로젝트예요. 2019년 1월부터는 코딩을 이용해 문제를 풀거나 수학 문제를 만드는 ‘코딩 수학’에도 참여할 수 있으니 궁금하면 폴리매스 홈페이지 polymath.co.kr 에 접속해 보세요! ● 주니어 폴리매스 쪼개고 붙여 넓이를 ... ...
- [수학체험실] 블록으로 만드는 프랙털 세상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함께 만들어 봅시다. 프랙털 구조에서 찾은 수학 프랑스 수학자 브누아 만델브로는 1967년 ‘영국의 해안선 길이는 얼마일까?’라는 질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발표했다. 그는 코끼리가 해안선을 성큼성큼 걸어가면서 거리를 잴 때와 개미가 샅샅이 지나가며 잴 때는 많은 차이가 있다고 ... ...
- [교육뉴스] 수학 용어로 ‘썰’ 좀 풀어볼까?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또는 팀을 이뤄 학교에서 배운 수학 개념과 원리를 쉽고 재밌게 설명하는 대회예요. 2018년에는 총 649팀이 발표 장면을 동영상으로 찍어 예선에 지원했고, 중등부 8팀, 고등부 8팀이 본선에 진출했어요. 본선에 진출한 팀은 심사위원과 청중심사단 앞에서 기발하고 재미난 발표를 뽐냈어요. ... ...
- [수셰프 피터팍의 맛있는 수학] 떡국 한 입, 타원 한 입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그러니 여러분도 무엇이든 수학으로 탐구하는 취미를 가져보세요. 혹시 아나요? 몇천 년 뒤에 우주를 뒤흔들 발견이 될지! 수학과 함께라면 떡국떡을 썰다가도 우주의 비밀에 다가갈 수 있다는 걸 알았으니 이번 설에는 떡국 한 입 먹을 때마다 타원의 정의와 특징을 떠올려 봅시다. 떡국 한 입, ... ...
- [지구사랑탐사대] 매미 연구로 최우수상 탔어요! 매벤져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게 별로 없었어요. 그런데 탐사 활동 기간이 늘어나면서 지식이 저절로 쌓였지요. 또 3년 동안 탐사하면서 모은 자료를 연구에 활용했어요!” 최우수상을 수상한 비결을 묻자, 매벤져스 팀원들은 지사탐 활동을 가장 먼저 꼽았어요. 매벤져스 팀원들은 모두 지사탐을 3~4년 정도 활동한 베테랑 탐사 ... ...
- [화보] 2월이 한여름이라고?! 남극의 여름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미지의 세계’라고 해요. 1911년 노르웨이 탐험가 아문젠이 남극을 처음 밟은 이래 100여 년이나 지났지만, 아직까지도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더 많은 곳이지요. 남극 연구는 미래 지구환경을 예측하고 준비하기 위한 가치 있는 도전이라고 생각해요. 처음 남극을 방문하였을 때 느꼈던 드넓은 ... ...
- Part 2. 특징 - 뇌가 크면 인간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149개에 달하는 석기를 발굴했어요. 지층의 연대를 분석하니, 이 석기들은 무려 330만 년 전에 만들어진 것이었어요. 연구팀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이 석기를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했죠. 도구를 만드는 데 꼭 큰 두뇌가 필요하지는 않다는 얘기예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 ... ...
이전5225235245255265275285295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