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화학 연구소 이서봉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축전지는 기존의 것의 10배나 되지요. 다시 말해 $\frac{1}{10}$의 무게로 같은 성능을 내는
셈
이지요. 또 형태를 원하는대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에 응용이 가능합니다." 전기자동차가 에너지 효율도 높고 공해도 일으키지 않지만 널리 실용화되고 있지 못한 이유는 바로 납 축전지의 무게 ... ...
신체에 획기적 변화 초래 어떤 사람이 어떤 방법으로 해야 효과적일까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큰 힘을 발휘하려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자못 역설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셈
이다. 단식이 하나의 저항 및 투쟁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근래에 와서 정치적인 마찰이 잦아지면서부터의 일이다. 단식은 오랜 역사를 지닌 인간의 자의적 행위로서 대개 그동안 수행(修行)과 의료의 ... ...
공해없는 꿈의 차 전기자동차는 어떤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가능하면 작은 용량의 전지에 많은 양의 전기를 담는 에너지밀도의 향상이 지상과제인
셈
이다. 축전지의 종류를 살펴보면 현재 많이 쓰이고 있는 납축전지는 40Wh/kg인데 비해 철·니켈 알칼리전지는 60Wh/kg, 니켈·아연전지는 70Wh/kg, 아연·염소전지는 170Wh/kg, 나트륨·황전지는 200Wh/kg 등으로 ... ...
한국과학기술의 미래 자립이냐 종속이냐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더 큰 형편이다. 다시 말해서 다른 나라에서 벌어 일본에 모두 주고도 모자라는
셈
이다. 이런 현상의 원인은, 일본이 중화학공업 제품 중심의 생산재를 수출하는 반면 우리나라가 경공업 제품의 최종소비재를 주로 수출하는 양국의 수직적 분업구조에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일본과 한국의 ... ...
지구과학 쉽게 해설한 참고서를 골라야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본문 뒤에 실린 문제중에서 해당되는 것을 골라 풀어보면 완전히 마무리가 되는
셈
이다. 그래도 이해가 안될 경우에는 그냥 넘어가는게 좋다. 더 씨름해봐야 소득없이 시간만 낭비할 뿐이다. 어느 정도 고생한 후 그냥 지나가면 다른 부분을 배울 때나, 또는 길을 걷다가 우연히 깨우치는 경우도 있다 ... ...
녹색 혁명 이야기 나무 쟁기에서 유전자 조작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농기구와 화학비료 트랙터는 식량생산을 비약적으로 증가시켰다. 유전공학은 아직도 기아에 허덕이는 인류를 해방시킬 것인가?지금으로부터 1~2만년 전, 최후의 빙하가 양 ... 향상은 장차 생산성에 엄청난 변화를 몰고 올 것으로 기대된다. 바로 제2의 농업혁명이 눈 앞에 다가온
셈
이다 ... ...
경기공업개방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백50명이 정시제 수업을 받고 있으므로 주간보다 오히려 야간에 공부하는 학생이 더 많은
셈
이다. 또 재학연한도 따로 정하지 않아 평생교육의 취지를 살렸으며,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에 계절학기를 운영해 학점취득의 편의를 주고 있다. 이처럼 일반대학과는 다른 방식으로 학사관리를 하게 됨에 ... ...
한국의 봄꽃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4월까지 꽃이 달려 있으므로 모든 봄꽃은 동백이 피어난 후에야 비로소 피기 시작하는
셈
이다. 동백 이외에도 매화가 있으나 요즘은 매화를 보기 힘들다. 부여지방의 매화는 추운 겨울에 꽃이 핀다고 하여 한매(寒梅)라고 하지만 이것도 봄날씨가 되어야 핀다.봄철에 피는 꽃의 종류는많다. ... ...
세계 최초의 무단 변속장치 자동차개발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홈폭이 커지면 벨트가 닿는 위치가 축에 가까와져 그만큼 지름이 작은 풀리를 쓰는
셈
이 되어 홈폭이 좁아질수록 지름이 커지게 된다. 이에 의해 종래의 변속기처럼 일정한 치차비(齒車比)를 갖추지 않고 무단계의 비율로 변속을 할 수 있게 된다.이 CVT에 전자제어전자(電子制御電磁)클러치(오른쪽 ... ...
팽창우주의 운명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어떤 별과의 거리를 1광년이라고 한다면 우리는 그 별에서 1년전 나온 빛을 보고 있는
셈
이다. 즉 1년 전의 과거를 보는 것과 같은 것이다. 우주의 지평선이란 우주의 탄생 때 출발한 빛이 지금 도달한 극한적인 장소를 말한다. 그러니까 그 거리는 광속에 우주의 나이를 곱한 최소한 1백억광년이 된다 ... ...
이전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