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스페셜
"
발표
"(으)로 총 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리포솜 화장품, 깊숙이는 커녕 각질도 못 뚫는다
2016.03.15
그 아래 표피나 진피까지 이를 수 있다고 생각했다. 2012년 ‘Soft Matter’라는 학술지에
발표
된 한 논문의 그림으로 리포솜(녹색 공)이 각질층(stratum corneum)을 통과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 ‘Soft Matter’ 제공 ● 5㎛ 너머서는 흔적 안 보여 학술지 ‘플로스원’ 1월 11일자에는 젊은 시절 5년 반을 ... ...
네안데르탈인에게도 현생인류 피가 흘러들어갔다
2016.03.07
비교분석한 결과 알타이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에서 현생인류의 피가 0.1~2.1% 섞여 있다고
발표
했다. 또 혼혈이 된 시기는 대략 10만 년 전이라고 추정했다. 알타이 네안데르탈인은 유럽의 네안데르탈인과 대략 11만 년 전에 갈라진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번 결과와 모순이 되지 않는다. 즉 유럽에 ... ...
일본 친환경 선박용 LNG 연료전지의 연구현장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3.04
90%, SOx 60%를 각각 감소시킬 수 있는 연료 추진설비를 제작하는 이론적 기반을 확립했다고
발표
했다. 10여 년이 지난 최근에도 온실가스를 저감하기 위한 연구·개발은 계속 진행하고 있다. 환경·동력계에서 진행하는 연구도 이 중 일부분이다. LNG 이용한 연료전지에 주목한 계기 환경·동력계는 ... ...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치료물질 개발을 위해 뛴다
IBS
l
2016.03.02
환경에서도 방향족에 불소-18을 도입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2012년 미국화학회지에
발표
했다. 유용한 '발현 물질' 연구로 사회 문제 해결의 실마리 찾고파 이 연구위원은 과학의 연구결과가 사회에 환원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특히 앞으로 다가올 노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질병 문제에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
2016.02.23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 게놈 편집도 해봐! 한편 지난 2월 1일 HFEA는 또 다른 놀라운
발표
를 했다. 인간배아를 대상으로 게놈편집을 허용한다는 내용이었다. 게놈편집은 학술지 ‘사이언스’의 2015년 10대 뉴스에서 당당히 1위로 뽑힌 혁신적인 생명공학기술로 소위 ‘유전자 가위’로 불리기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
2016.02.13
이 사건을 ‘GW100916’이라고 명명했다. 이듬해 3월 14일 주최측은 이 신호가 가짜임을
발표
해 과학자들을 실망시켰지만(물론 어느 정도 예상한 일이었겠지만), 라이고가 제대로 작동하는 시스템임을 확인시키면서 이어지는 업그레이드 작업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 참고로 이번 진짜 중력파 사건은 ... ...
레이저가 보여주는 전자들의 흔적을 찾아
IBS
l
2016.02.02
인연 학부 때부터 빛, 레이저와 관련된 광학 실험에 관심을 가졌던 그는 2015년에
발표
한 성과와 관련된 기초연구로 KAIST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흥미롭게도 윤 연구위원은 KAIST 시절부터 남창희 교수(현 IBS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단장)의 지도를 받았다. GIST와의 인연도 깊다. “KAIST 석사과정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
2016.01.25
제공 Q2. 언제 어디서 처음 발견했나?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첫 논문은 1952년
발표
됐다. 저자들은 1947년 우간다 숲에 사는 붉은털원숭이의 역학조사에서 황열을 앓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붉은털원숭이의 혈액 시료를 채취했는데, 나중에 분석을 해보니 황열바이러스와 꽤 비슷하지만 다른 ... ...
꽃처럼 아름다운 눈결정에 담긴 비밀
2016.01.18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유명한 경구를 남긴 르네 데카르트다. 데카르트는 1637년
발표
한 저서 ‘기상학’에서 맨눈으로 관찰한 눈결정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한편 영국의 로버트 훅은 막 발명된 현미경으로 눈결정을 관찰해 직접 그린 그림을 1665년 저서 ‘마이크로그라피아(Micrographia)’에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
2016.01.11
있는 것들은 임의 변이와 외부요인으로 인한 변이가 섞여 있는 걸로 봤다. 지난해 초
발표
돼 화제가 된 암 발생의 ‘불운 가설’은 데이터를 잘못 해서한 결과라고 주장하는 논문이 ‘네이처’ 1월 7일자에 실렸다. 즉 암 발생률(세로축)과 줄기세포 분열횟수(가로축)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에 ... ...
이전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