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79만년 전 아슐기 유적에서 인류가 불을 사용한 흔적을 발견했다고 2004년 ‘사이언스’에
보고
했다. 연구자들은 불에 탄 목재, 식물 씨앗과 함께 부싯돌을 발견했는데 이는 인류가 의도적으로 불을 피웠음을 의미한다. 이 무렵 지구에 퍼져있던 인류는 호모 에렉투스와 현생 인류의 직계 조상으로 ... ...
말랑말랑한 젤리가 위험하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손에 이끌려 가는 아이가 터뜨린 울음소리에 X마트 안은 발칵!저녁 준비를 위해 장을
보고
있던 닥터고글은 두 귀가 쫑끗!“왜…, 왜 그냥 가지? 우린 인기짱 간식이라구!”알록달록 예쁜 젤리들은 황당하다며 아우성! 닥터고글, 아무래도 장보기보다 사건 해결이 더 급할 것 같아~!“이야, 맛있겠다. ... ...
운동량 체크하고 걸음법까지 보정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005년 8월 미국 워싱턴대의 고고학자 에릭 트린커스 교수는 고고학저널(JAS)에 발표한 연구
보고
서에서 인류가 수만 년전 튼튼한 신발을 신으면서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이 해부학적으로 약해졌다고 주장했다. 인간의 발은 정말 약해졌을지 모른다. 맨발로 집 밖을 나가는 일은 상상만 해도 차고 ... ...
양방향메시징서비스(MO)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아니라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충성도를 높여 시청률을 상승시킬 수 있다”는 내용의
보고
서를 발표했다. 시청률은 방송국의 주된 수입인 광고수익과 직결되므로 각 방송국은 MO를 활용해 프로그램을 제작하는데 적극적으로 나섰다.‘문자’ 투표로 스타 발굴한다방송 MO는 2001년 유럽에서 급속히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더 매력적으로 바뀐다는 거야. 정말 신기하지?악마의 눈사람들은 나 레우코글로리디움을
보고
악마 같은 기생충이라고 하더라? 내가 기생하는 참쨈물우렁이를 죽음으로 몰고 가기 때문이래. 난 참쨈물우렁이의 몸 안에 있다가 새에 잡아먹혀야 알을 낳고 번식할 수 있어. 그래서 참쨈물우렁이가 ... ...
노행운 씨의 마파도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걸어가면 되는 거였어. 할머니들 미워용~!”인공바다에서 파도를 연구한다무한한 자원의
보고
인 바다를 이용하려면 파도를 꼭 알아야 한다. 배로 바다를 항해하거나 해양구조물을 세워 석유와 천연가스와 같은 자원을 채취할 때 파도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 모른다면 더 많은 돈이 들거나 예상치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응용분야가 넓어지고 있다염화비닐이 태양광선에 의해 백색 분말로 변하는 것이 1835년에
보고
됐는데 이 분말이 PVC였다 1930년 유니온카바이드사가 최초로 공업생산했는데 당시에는 성형성이 불량해 가소제를 배합해야만 했다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내약품성 내유성(耐油性)이 좋은 반면 가공성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이런 증후군이 먼 나라의 얘기만은 아니다. 지난 6월 초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이 공개한
보고
서 ‘휴대전화 중독 원인분석’에 따르면, 12~39세의 164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에도 벨소리가 들리거나 진동이 울리는 착각을 한다’는 질문에 18%가 그렇다고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환자는 여름보다 봄에 많다. 일사량이 적고 실내 활동이 많은 겨울 동안 피부가 빛을 못
보고
지내다가 갑자기 빛에 노출되면 적응하지 못하는 탓이다. 얼굴은 늘 노출되는 부위이기 때문에 햇빛에 대한 역치가 목이나 팔보다 커 덜 민감하다.다형일광발진이 일어나는 과정은 이렇다. 자외선의 ... ...
12월이 빨리 지나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의도적으로 집중할 때만 시간의 흐름을 알아챌 수 있다. 재미있는 방송 프로그램을
보고
있으면 한 시간이 어느새 흘렀는지 모를 때가 많다. 그러나 한산한 대기실에서 기차를 기다리거나 줄을 서서 순서를 기다릴 때처럼 딱히 소일거리가 없는 상황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집중하게 돼 시간이 ... ...
이전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