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척
진전
전진
과정
진출
진보
순서
d라이브러리
"
진행
"(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양방향메시징서비스(MO)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MTV는 실시간 MO 투표로 많은 표를 얻은 노래의 뮤직비디오를 틀어주는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마음이 통하고 생각을 나누는 ‘엄지손가락’다른 분야의 MO도 방송 MO의 성장에 힘입어 널리 활용될 전망이다. 위치정보서비스와 연동된 지역별 여론 조사와 투표도 MO를 이용하면 실시간으로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다른 부분계로 분리되는 현상이다 즉 한 계 속에서 형태적 기능적으로 특수화가
진행
되어 특이성(特異性)이 확립되는 과정이 분화이다 조직분화 기관분화 등도 마찬가지이며 이들 형태분화에 선행하는 것이 화학분화이다3차원 입체구조의 단백질 중 그 단백질의 고유 기능을 나타내는 특정 부위 ... ...
플라스틱, 지구를 성형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1907년 최초의 합성 플라스틱 베이클라이트가 발명되면서 플라스틱 세상이 열렸다.그 뒤 나날이 번창한 ‘플라스틱 패밀리’는 100년 만에 가장 널리, 가장 많이 쓰이는 소재가 됐다.최근에는 에너지 위기를 넘을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플라스틱을 단열재로 쓰면 한겨울 난방비를 90%나 줄 ... ...
PART2 막강 플라스틱 패밀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1977년 일본 도쿄기술연구소 시라카와 히데키교수팀이 폴리아세틸렌을 만드는 실험을
진행
하던 중 기적이 찾아왔지. 폴리아세틸렌은 아세틸렌에 촉매를 넣어 만들 수 있는데, 어느 날 실수로 실험방법에 적혀있는 양보다 1000배나 많은 촉매를 부었어. 그러자 평소 만들어지던 검은색 분말 대신 은빛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있다. 만약 시끄러운 백화점이나 음식점에서 대화하기 어려워졌다면 이미 난청이 상당히
진행
된 상태다.왜 하필 4000Hz의 소리부터 들리지 않을까. 귓속으로 들어간 소리는 고막, 이소골을 거쳐 달팽이관으로 이동한 뒤 여기서 소리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바뀌고 이 전기신호가 뇌로 전달된다.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합성하는 호르몬을 인위적으로 투여해 피부에서 일어나는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멜라닌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지키고 비정상적 면역반응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Report 3 귀가 안 들리다 눈이 안 보이고 CMTX5“김 교수. 내 환자 중에 난청을 앓고 있는 환자가 있는데, ... ...
우주 갔다 돌아올 '판타스틱 씨앗'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일으키는지 연구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우주환경에서 새로운 종자를 개발하려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씨앗을 우주환경에 노출시킨 뒤 회수해 지상에서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는 방법을 ‘우주육종’(space breeding)이라고 한다. 지구에서 인위적으로 만든 방사선을 씨앗에 쪼여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 ...
아침에 기분좋게 깨워주는 친구 닥터라이트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시상하부는 잠에서 빠져나와야 할 시간이 됐다는 메시지를 받는다. 시애틀에서 연구를
진행
했던 에이베리 박사는 던(dawn)시뮬레이션이 계절 우울증과 관련 있는 동면 증세를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프랑스의 정신과 의사이자 인지신경학자인 다비드 세르방 슈레베르 박사는 ... ...
인류 진화의 원동력 요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연말 분위기는 풍성하고 다채로운 요리가 함께 할 때 더욱 흥이 난다. 인류가 창조한 문화의 한 축인 요리가 최근 재평가되고 있다. 뇌용량의 급격한 팽창으로 대표되는 현생인류의 탄생에 요리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조상들이 먹어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예정입니다.”아직까지 인간 배아줄기세포가 임상에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예정대로
진행
될 경우 세계 최초의 사례가 된다. 우여곡절 겪은 국제 공동연구 “브록스마이어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시작했을 때는 영광스러웠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우여곡절을 겪을 줄이야….”배아줄기세포의 ... ...
이전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