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2 첨단기술 활약할 무대장치 만든다과학동아 l2003년 08호
- 단순한 상상에 그치지 않을 것이다.현재 의료 분야에서는 초기 형태이기는 하지만 알약 크기의 소형 로봇내시경이 인체 안을 돌아다니면서 무선으로 영상을 보내는 기술이 개발돼 있다. 미래에는 이 로봇내시경이 영상뿐만 아니라 진단 결과까지 인체 밖으로 보내게 될 것이다. 또 인체 안에 ... ...
- 2 정자, 난자, 배아 얼려 임신 조절한다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정자보다는 냉동과정이 훨씬 까다롭고 이에 따라 생존율도 낮을 뿐이다. 난자는 일단 크기가 일반 체세포나 정자에 비해 크다. 포유류의 난자는 약 1백20-1백5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정도로 보통 세포의 약 5만배 이상이다. 이는 난자가 육안으로 보인다는 점에서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 ...
-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사는 벌레 중에는 보넬리아(Bonellia viridis)라는 종류가 있다. 보넬리아의 암컷은 약 10cm의 크기지만, 수컷은 약 1-3mm에 불과하며 암컷의 내부에서 기생한다. 보넬리아의 유생은 플랑크톤 형태로 살아가는데, 이 유생이 독립적으로 바위에 붙어 살아가면 암컷이 되고 만약 암컷에 먹혀 내부로 들어가면 ... ...
- 다차원 공간의 외로운 여행과학동아 l2003년 08호
- 해마다 하나씩의 봉우리가 존재하는 것이다.그렇다면 3천 도시 TSP의 경우 문제공간의 크기와 끌개의 수는 얼마나 될까. 공간탐색 알고리즘은 이런 황량한 공간을 돌아다니는 외로운 교통수단이다.최적화 알고리즘 분야에서는 ‘언덕오르기 방식’이라는 기초적 기법이 있다. 문제공간에서 임의의 ... ...
- 실험실에 떠오른 목성과 무지개과학동아 l2003년 08호
- 그럴까?!▶▶▶ LED가 깜빡이는 속도는 왜 사람마다 다를까?사랑지수 측정장치는 저항의 크기에 따라 깜빡이는 정도가 달라지는 전기회로다. 즉 클립을 잡은 사람의 전기저항이 작으면 깜빡이는 속도가 빨라지고, 전기저항이 크면 깜빡이는 속도가 느려진다.인체도 고유한 저항값을 갖는다. 인체의 ... ...
- 대형 구조물 안전 책임지는 시뮬레이션과학동아 l2003년 08호
- 때문이다. 그런데 이 지하 LNG 저장탱크의 규모가 상상을 초월한다. 지름 73m, 높이53m의 크기로 용적이 20만kL나 된다. 물이라면 수영장 2백곳을 채울 수 있는 엄청난 양이다. 게다가 천연가스를 액체상태로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탱크내부의 온도는 영하 1백62℃를 유지해야 한다.곽교수팀은 현재 지하LNG ... ...
- 1 라면스프에서 휴대폰까지 진공장비 필수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새기는 공정은 오염 입자가 없는 진공 상태에서 이뤄져야 하기 때문이다. 반도체 칩 크기가 점점 작아질수록 칩 위에 새겨야 하는 모양도 더 조밀해진다. 따라서 매우 작은 입자도 칩의 동작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공정에 사용되는 장비 안의 오염 입자가 많이 제거될수록 생산성이 높아지는 ... ...
- 1 체온 2℃만 내려도 1백50살까지 산다과학동아 l2003년 08호
- 대해서도 성공을 거두고 있다. 이후 50여년의 세월이 흘러, 세포 수준을 넘은 강낭콩 크기 만한 난소조직까지 냉동시키고 있다. 하지만 인간이 이보다 수백-수천배 큰 점을 감안하면 통째로 얼린 뒤 되살리는데는 얼마나 긴 세월이 필요할지 짐작하기 힘들다. 김 교수는 “육안으로도 겨우 관찰할 수 ... ...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과학동아 l2003년 08호
- 구별된다. 즉 레이저 냉동은 냉동시키는 대상이 기체의 원자들이다. 따라서 냉동 대상의 크기도 일반적인 냉동법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다.레이저 냉동법은 2개의 레이저를 기체 원자를 향해 양방향에서 쏜다. 그러면 원자들이 두 레이저 빛과의 계속되는 충돌로 인해 속도가 줄어든다. 그 ... ...
- ${10}^{-15}$m 펨토세계에서 새로운 입자 발견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이 원자는 전자와 원자핵으로 나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원자핵은 각각이 10-15m 크기인 양성자와 중성자로, 이들은 다시 10-19m 보다 작은 쿼크로 이뤄졌다는 것을 알게 됐다.현재의 입자에 대한 표준모형에서는 6개의 쿼크가 있다. 가벼운 쿼크인 업(u), 다운(d), 스트레인지(s), 그리고 무거운 ... ...
이전5235245255265275285295305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