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스페셜
"
개발
"(으)로 총 6,55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로봇 바지 입고 힘 덜 들이고 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8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바지 모습의 로봇 슈트를 입고 달리는 사람의 모습을 16일 표지로 실었다. 힘든 일을 하는 일반인의 걷는 동작을 ... 것과 뛰는 것을 동시에 보조하는 웨어러블 로봇을
개발
한 것은 향후 웨어러블 로봇
개발
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부르키나파소는 왜 GM모기 방사를 결정했나
과학동아
l
2019.08.17
암컷 전체가 생식을 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 이 기술 역시 크리산티 교수팀이
개발
했으며, 실험을 통해 7~11세대 만에 모기가 전멸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2018년 9월 24일자에 실렸다. doi:10.1038/nbt.4245 아프리카 보건과학연구소는 크리산티 ... ...
알츠하이머 치매 PET로 조기 판별 방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6
단백질과 타우 단백질이 쌓이면서 기억력을 떨어뜨리는 질환이다. 아직 근본 치료법이
개발
되지 않았고, 증상을 늦추는 쪽으로 치료하고 있다. 조기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다. 글루타메이트는 중추신경계에서 15~20%를 차지하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학습과 기억 형성에 주요한 역할을 ... ...
내성 결핵균 잡을 새 치료법 FDA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8.16
성분과 제약사 존슨앤존슨가
개발
한 '베다퀼린', 비영리단체 티비얼라이언스가
개발
한 '프리토매니드' 등 약제 3종을 병용하는 것이다. 임상시험 결과 107명 중 95명이 완치해 치료율이 89%에 이르렀다. 임상시험 결과 소아청소년 다제내성 결핵균 환자를 대상으로도 치료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 ...
[과학게시판] 2019 재미있는 과학놀이 콘텐츠 경진대회 결과 발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탁월한 성과를 보인 연구자 등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오 실장은 경남 창원시가 강소연구
개발
특구에 지정되는데 기여를 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은 지난 8일 2019년 후기 외국인 신입생 46명이 경기 수원에 위치한 삼성 이노베이션 뮤지엄을 방문했다고 13일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이즈 바이러스 퇴치할 수 있을까
2019.08.13
되면 평생 마음고생을 하며 살아야 하는 게 현실이다. HIV를 퇴치하는 치료제나 백신을
개발
해 과학이 완승하기를 응원한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 ...
걸음걸이 분석해 무릎관절염 심각도 진단하는 로봇시스템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수술 없이도 치료 및 재활하는 방법
개발
을 기대할 수 있다. 강상훈 교수는 “이번에
개발
한 기술로 진단 보조 및 첨단 바이오피드백 재활훈련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며 “울산 지역 공공산재병원을 비롯한 재활병원 등에서 정밀 로봇재활의 새 장을 여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정아의 닥터스] "가습기살균제 참사는 현재진행형…폐손상 바이오마커 찾는 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한다. 만약 가습기살균제 성분이 폐 손상을 일으키는 데 관여하는 물질을 바이오마커로
개발
한다면, 혈액에 들어있는지 검사하는 것만으로도 쉽고 빠르게 진단할 수 있다. 증상이 거의 없더라도 단순 검사를 통해 진단받고 필요하다면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우리 연구팀은 230명 환자의 ... ...
"한국 'AI 무기화 반대' 적극 동참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보이콧은 KAIST 측이 신성철 총장의 해명과 '유의미한 인간 통제’ 하에서 작동하는 AI를
개발
하겠다는 약속을 내놓으면서 일단락하는 듯했다. 하지만 월시 교수는 지난달 30일 미국 뉴욕타임스와 인터뷰에서 "한국이 AI 자율살상무기 금지를 위한 국제적 협약에 반대하고 있다"며 다시 한번 ... ...
[표지로 읽는 과학] 빛으로 나노미터급 미세소관 움직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1
교수 연구팀은 이 모터단백질과 미세소관의 움직임을 빛을 이용해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
해 이번주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모터단백질을 식물에서 발견되는 빛 활성화 단백질에 연결했다. 이를 통해 빛을 비출 때만 모터단백질이 움직이도록 했다, 그 결과 모터단백질은 빛이 있을 경우에만 ... ...
이전
523
524
525
526
527
528
529
530
531
다음
공지사항